728x90

유형문화재 1044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호_능견난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호 _ 능견난사 (能見難思) 수 량 : 1착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송광사에서 음식을 담는데 사용하던 그릇이다. 송광사 제6대 원감국사가 중국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가져왔다고 전해지며, 만든 기법이 특이하여 위로 포개도 맞고 아래로 맞춰도 그 크기가 딱 들어 맞는다고 한다. 조선 숙종이 그것과 똑같이 만들어 보도록 명했지만 도저히 똑같이 만들어 낼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눈으로 볼 수는 있지만 만들기는 어렵다.”란 뜻에서 능견난사(能見難思)라는 이름까지 생겨나게 되었다. 현재 송광사 박물관에 29점이 소장되어 있다. 능견난사 (能見難思) 2017.04.03. 송광사성보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호_자정국사사리함.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호 _ 자정국사사리함 (慈精國師舍利函) 수 량 : 1개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자정국사의 사리를 담았던 그릇으로,지름 15.2㎝, 높이 7.7㎝, 뚜껑 높이 3.1㎝, 몸체 높이 5.3㎝인 청자상감국화문 항아리이다. 자정국사는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하나로,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고려 충렬왕 19년(1293)∼27년(1301)까지 주지승으로 있었다. 뚜껑은 윗면에 백상감으로 큰 원을 돌리고, 주변에 4개의 작은 원을 새겼다. 원 안에는 흑백상감으로 국화무늬를 새겼고, 원 사이에는 구름과 학무늬를 조각하였다. 옆면은 백상감으로 번개무늬와 연속된 작은점을 돌렸다. 몸체는 중앙에 위아래가 구분되는 면이 있으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_동화사 대웅전 (2017.04.23.일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_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지정일 : 1976.09.30 개운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고려 초기 대각국사가 지은 사찰로 조선 숙종 22년(1696) 계환대사가 일부 건물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화사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앞면 3칸·옆..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호_용담사 칠층석탑 (2017.04.09.일요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호 _ 용담사칠층석탑 (龍潭寺七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02 시 대 : 고려시대로 추측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주천면 원천로 165-12 (용담리)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이곳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9호_선원사 약사전 (2017.04.09.일요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_ 선원사약사전 (禪院寺藥師殿) 지정일 : 1986.09.08 선원사는 남원시에 있는 절로 평지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에 도선이 남쪽 산천을 둘러본 후 헌강왕 1년(875)에 이곳에 지었다.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만복사와 함께 불타버린 것을 영조 30년(1754)에 다시 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_선원사 동종 (2017.04.09.일요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_ 선원사동종 (禪院寺銅鐘) 지정일 : 1973.06.23 전라북도 남원 선원사 대웅전 안에 있는 높이 66cm, 입 지름 47cm의 조선시대 범종이다. 종의 맨 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한 마리 용이 웅크리고 있는 모습인데, 세부적인 표현은 따로 만들어 붙여서 완성..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4 호_ 선국사대웅전 (善國寺大雄殿)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5호 _ 선국사대북 (善國寺대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4 호_ 선국사대웅전 (善國寺大雄殿) 지정일 : 1985.08.16 선국사는 교룡산성 안에 있는 절로 산성내에 있다고 산성절이라 부르기도 한다. 신문왕 5년(685)에 세워졌으며, 이곳에 용천이 있다고 하여 용천사라 하였다. 선국사로 이름이 바뀐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절의..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_의왕 청계사 사적기비(2017.03.26.일요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 표지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9호_유순정초상 및 함 (柳順汀肖像 및 函)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_ 유순정초상 및 함 (柳順汀肖像 및 函) 지정일 : 2009.03.10 시 대 : 조선시대 유순정초상 및 함에 대한 설명입니다.이모본이나 명문을 넣은 변화된 공신상으로서 새로운 구성을 보이며, 조선 초기 초상화에서 중기 초상화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도상 특징과 화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