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667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정안사>, <금강대>

,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중엽, 간송미술문화재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중엽, 간송미술문화재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중엽, 간송미술문화재 2025.04.04, 호암미술관_겸재 정선'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관동팔경도>, 장안사, 만폭동, 백천동

, 장안사, 만폭동, 백천동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간송미술문화대전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간송미술문화대전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간송미술문화대전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간송미술문화대전 2025.04.04, 호암미술관_겸재 정선'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안 슈투르사의 <상처 입은 사람>

<상처 입은 사람(The Wounded)> _  얀 슈투르사(1880~1925, 체코 출생), 1920년경, 청동, 녹청, 석재, 49.5×14.0×23.0cm, 레오폴트미술관 이 조각은 중심을 잃고 곧 앞으로 넘어질 것 같은 순간을 묘사했다.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양팔을 들어 올린 자세로 다리를 꼬고 발끝으로 서 있는 긴장된 순간이다. 매끄럽게 다듬어진 몸이 빛을 섬세하게 반사해 상처 입은 인물의 연약함과 불안함을 드러낸다. 인물이 느끼는 극한의 감정을 몸으로 표현한 방식은 에곤 실레가 구많은 드로잉에서 보여 준 화풍과 비슷하다. 당시 친한 예술가들끼리 각자의 작품을 주고받은 일이 자주 있었는데, 슈투르사와 실레 역시 서로 교류하며 작품을 교환했다. <상처 입은 사람(The Wounded)> _  얀 ..

국가민속문화재 제193호_부여 군수리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93호 _부여 군수리 고택 (扶餘 軍守里 古宅) 수량/면적 : 3필지/852㎡지정일 : 1984.12.24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신기정로94번길 17-8 (군수리)시   대 : 조선시대 후기 (18세기) 군수리 사지 옆 평야마을에 동향으로 세운 초가이다. 안채와 헛간채, 그리고 최근에 지은 헛간채가 있다. 안채는 건축양식으로 보아 18세기 후반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헛간채는 1938년에 지었다는 기록이 발견되었다.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안채는 안마당을 앞에 두고 '一'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큰방과 작은방·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왼쪽 뒤로 헛간채가 있는데, 방과 광·잿간·헛간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형태이다. 부엌에는 조왕신을 모시는 가정신앙이 살아 있다. 마당과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