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기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_현등사 삼층석탑(2019.12.22)

기리여원 2019. 12. 23. 10:36
728x90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09.26

소재지 :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시   대 : 조선시대 추정


현등사 삼층석탑은 높은 지대석 상면에 2층 기단을 구비한 일반형 석탑이다. 하층기단은 불상의 대좌와 같이 하대석 ․ 중대석 ․ 상대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 상 ․ 하대석에는 판 내에 장식문이 있는 연화문과 장방형의 액(額)이 공통적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중대석에는 대나무형의 원주(圓柱)로 된 우주와 탱주가 새겨져 있다. 상층기단의 면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새겨져 있는데, 기둥의 사이에는 장방형의 액을, 상면에는 복연(伏蓮)이 조각된 갑석을 놓았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탑신의 각 면에는 양 우주가 새겨져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원주․ 2층은 4단, 3층은 3단의 옥개받침이 두드려져 있다. 상륜부는 복발주․ 연주문주․ 보륜주․ 보주 등이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탑에서는 조선 세조 5년(1470) 현등사를 중수한 기록이 새겨진 사리함과 사리가 발견되었으며, 석탑을 구성하는 각 부의 양식과 문양 등으로 보아 조선시대 전기에 건립된 석탑으로 추정된다.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표지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_ 현등사삼층석탑 (懸燈寺三層石塔)


글 문화재청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