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48

국가민속문화재 제21호_남이흥장군 일가 유품

국가민속문화재 제21호 _ 남이흥장군 일가 유품 (南以興將軍 一家 遺品) 수량/면적 : 일괄지정일 : 1970.12.29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충장1길 53-24 (대호지면) 도이리374-2 시   대 : 조선시대 남이흥(1576∼1627)은 임진왜란 때 노량해전에서 이순신과 함께 전사한 남유의 아들로, 선조 35년(1602)에 무과에 급제 하고, 이후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1차 지정 유물은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입었던 사슴가죽으로 만든 옷 1벌과 인조 임금이 하사하였다고 전하는 곤룡포 1점, 그리고 상아·나무·녹각 등으로 만든 장군과 가족들의 호패 7점이다. 2004년에는 고문서 13점, 영정1점, 생활자료 10점, 복식 6점 등 총 30점의 유물을 추가로 지정하였다. 이 외에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27호_당진 송규섭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27호 _ 당진 송규섭가옥 (唐津宋圭燮家屋) 면    적 : 1,299㎥지정일 : 2010.01.11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바리미길 18-11 (송악읍)시    대 : 조선후기~근대 1850년경 의금부도사를 역임한 안기원이 지었다고 전하며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맞물려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안채의 좌,우편에 곳간채가 각각 1동씩 있다. 비교적 가옥의 규모가 크고 사용된 건축부재도 굵기나 치목 등이 정교하고 결구수법 등이 전통건축 기법을 따르고 있으며, 당진군 관내에서도 비교적 배치 및 보존상태가 양호한 충청도 서북부지방의 부농가옥이다.당진 송규섭가옥  표지판 당진 송규섭가옥  "ㄴ"자형의 사랑채  사랑채 보수공사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ㄴ"자형의 사랑..

국가민속문화재 제39호_고창 신재효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39호 _ 고창 신재효 고택 (高敞 申在孝 古宅) 수량/면적 : 7필지/1,097㎡지정일 : 1979.01.26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453번지시   대 : 조선시대 판소리 이론가면서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1812∼1884)가 살던 집이다.철종 1년(1850)에 지은 것으로 짐작하며 광무 3년(1899) 그의 아들이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 집은 소담한 초가집 사랑채로 보고 있는데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전까지 고창 경찰서의 부속 건물로 쓰였다. 지금 건물은 많이 개조되고 변형된 것을 국가에서 관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고자 다시 수리한 것이다.앞면 6칸·옆면 2칸 규모에 '一'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으며 지붕은 초가지붕이다. 구성은 앞에서 볼 때 왼쪽부터 부엌 1칸, 방 2..

국가민속문화재 제14호_고창 오거리 당산

국가민속문화재 제14호 _ 고창 오거리 당산 (高敞 五巨里 堂山) 수    량 :  3기지정일 : 1969.12.17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584-6번지 , 282-4, 878-1시   대 : 조선 순조 3년(1803)  고창읍 중앙동에 위치한 당산이다. 당산은 민간신앙에서 신이 있다고 믿고 섬기는 것으로, ‘당’혹은 ‘신당’이라고도 한다. 중앙동을 중심으로 동·서·남 방향의 상거리·하거리·중거리에 각각 1쌍의 당산이 있고, 마을 북쪽의 교촌리에 3기의 당산이 있다. 이곳에서는 각 쌍의 당산을 할아버지당, 할머니당으로 부르는데, 그 이름에 따라 외형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은 없다. 처음에는 당산 5곳 모두 자연석이었지만 풍수지리설에 따라 중앙과 남·서방향에만 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화강암..

국가민속문화재 제199호_서산 경주김씨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99호 _ 서산 경주김씨 고택 (瑞山 慶州金氏 古宅) 수량/면적 : 4필지/1,534㎡ 지정일 : 1984.12.24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음암면 한다리길 45 (유계리) 시 대 : 조선시대 평야마을에 자리잡아 북동향하고 있는 기와집으로, 지은 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으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세기 중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一'자형의 행랑채 안쪽으로 'ㅁ'자형의 안채가 있고 안채의 동쪽 옆에 사랑채가 '一'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행랑채는 7칸 규모로 왼쪽 끝에 바깥대문이 설치되어 있고, 부엌과 광·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향한 안채는 중문을 들어서서 안마당의 오른쪽에 있다. 이는 대부분의 중·상류주택이 몸채를 안마당 건너편에 두는 것과는 달리, 일조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

국가 민속문화재 제124호_화성 정시영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24호 _ 화성 정시영 고택 (華城 鄭時永 古宅) 수량/면적 : 1필지/5,712㎡ 지정일 : 1984.01.1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9번지 시 대 : 조선 순종 24년(1931) 나즈막한 동산이 둘러있는 명당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고 있는 큰집이다. 솟을대문에 적힌 기록에는 "고종 24년(1887)에 문을 세웠다"고 적혀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이 문보다 약 50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문은 정면으로 내지않고 북쪽측면으로 내어 언뜻보면 집이 커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50칸이 넘는 큰 규모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이며, 마당의 왼쪽으로 길게 줄행랑채가 뻗어있고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자리한다. 사랑채 맞은편의 마당끝에는 안채로 통하는 중대문이 ..

국가민속문화재 제296호_상주 우복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96호 _ 상주 우복 종택 (尙州 愚伏 宗宅) 수 량 : 8동 지정일 : 2018.11.01 소재지 : 경북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193-2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우복(禹伏) 정경세(1563~1633) 선생은 1602년 대산루를 짓고 1603년 별서 기능을 가진 계정을 지었으며 그의 고손자인 주원(1686-1756)은 영조가 하사한 사패지에 종택을 지었음. 이 종택은 우복산과 이안천을 낀 전형적인 배산임수에 자리하고 있으며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이 튼 口자형으로 배치된, 종택으로써 갖추어야 할 건축적 요소들을 잘 간직하고 있는 영남지방의 반가임. 종택보다 이전에 건립된 계정과 대산루는 별서 기능에서 종택의 별당과 또는 접빈공간으로 기능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대산루 T자형 평면구..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4호_삼강 주막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4호 _ 예천 삼강주막 (醴泉 三江酒幕) 수량/면적 : 1동 28.67 ㎡ 지정일 : 2005.11.20 소 재 지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27 삼강주막은 삼강나루의 나들이객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주고 보부상들의 숙식처로, 때론 시인묵객들의 유상처로 이용된 건물이다. 1900년 경에 지은 이 주막은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충실한 집약적 평면구성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역사 자료로서 희소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옛 시대상을 읽을 수 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의의를 간직하고 있다. 예천 삼강주막 표지판 예천 삼강주막 예천 삼강주막 현판 예천 삼강주막 좌 · 우측면 에천 삼강주막 좌측면 예천 삼강주막 우측면 예천 삼강주막 마루 예천 삼강주막 부엌 삼강주막 뒤 450년 ..

국가민속문화재 제135호_충주 윤양계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35호 _ 충주 윤양계 고택 (忠州 尹養桂 古宅) 수량/면적 : 1필지/5,712㎡ 지정일 : 1984.01.14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미내리 133번지 시 대 : 조선시대 후기 19세기 병마절제도위 윤양계가 1873년(고종 10)에 건립한 집으로, 앞으로는 하천이 흐르고 뒤로는 나지막한 산이 둘러싸고 있다. 원래는 대문과 행랑채에 나 있던 중문을 통해 사랑채로 출입하였는데, 행랑채와 중간 담이 모두 무너져 현재는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채로 출입할 수 있다. 이 집은 건물의 배치에서 독특한 점이 살펴지는데 앞쪽에 넓은 마당을 두고 '一'자형의 안채를 중심으로 안채와 직각으로 서쪽에 아래채를 두고 동쪽에 사랑채가 안채와 거의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랑채는 안채를 ..

국가민속문화재 제246호_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국가민속문화재 제246호 _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李應獬將軍 墓 出土服飾), 철릭 수 량 : 34점 지정일 : 2006.09.15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길 112-28 (중앙탑면, 충주박물관) 시 대 : 16세기 중반~17세기 전반 이응해(李應獬, 1547~1627)는 1613년(광해 5년)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무관으로 지난 2002년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복식류 등이 출토되었으며, 현재 충주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출토된 유물은 복식류와 함께 이불, 자리 등의 치관류(治棺類)등 총 34점이다. 복식류는 창의(氅衣 :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평상복)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17세기 남성 복식류로, 대부분이 봉황문과 다양한 꽃무늬, 구름무늬 등이 장식된 견직물로 제작되었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