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 5635

<유점사 동종>

_ 15세기 , 청동 왕실이 후원한 유점사에서 만든 종 금강산 유점사는 신라시대 53불의 연기와 관련된 창건 설화가 전해지고 있는 사찰이다. 고려시대 들어와 크게 중창되었으며, 조선초기에는 세조가 왔다가 중창을 명하여 대찰이 되었다. 조선후기에도 유력한 고승들이 주석하면서 불교계의 중심적인 사찰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동종은 천판 한가운데에는 쌍룡으로 용뉴(범종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의 모습을 한 고리)를 구비하였고, 종신 상부에 범자 진언을 새겼다. 그리고 종신 하부에는 구름과 용을 새겨 왕실의 후원으로 조성되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동종은 명문은 없지만 조선초기에 조성된 동종들과 양식적으로 강한 친연성을 보이고 있으며, 범자 진언도 유려한 실담체로 양각되어 있어 상당히 우수한 장인에 의하여 ..

보물 제2170호_경국대전 권4∼6

보물 제2170호_경국대전 권4∼6 (經國大典 卷四∼六), 권6 공전 수 량 : 2책지정일 : 2022.06.23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시 대 : 조선16세기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법제사・제도사의 연구에 있어 핵심이 되는 매우 귀중한 문헌이며, 서지학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1485..

문화재/보물 2025.07.17

보물 제268호_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보물 제268호 _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粉靑沙器 象嵌蓮花文 扁甁) 수 량 : 1개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대구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박물관 (산격동,경북대학교)시 대 : 조선시대(15세기) 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가 쇠퇴하면서 백자와는 다른 형태와 무늬, 구도를 가지고 나타난 매우 독특한 도자기이다. 그 명칭은 백토로 분장한 회청사기, 즉 ‘분청회청사기’라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분청’이라고도 한다.높이 19.1㎝, 아가리 지름 5.7㎝, 밑지름 10㎝인 이 병은 분청사기 특유의 획일적으로 무늬를 찍는 인화문과 표면에 백토를 씌우는 분장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고려청자와 다를 바 없는 질감을 가지고 있어 조선 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무늬를 보면 아가리 밑에 구슬 ..

문화재/보물 2025.07.16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산수도>

_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 , 조선 18세기, 먹지에 금가루(墨紙金泥),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강세황이 검은 바탕에 금가루로 그린 산수도로, 원대 화가들의 화풍을 따랐다. 근경의 정자와 어선, 중경의 강은 부드러운 피마준으로 표현되었고, 금분으로 칠해진 원경은 저녘 햇빛처럼 빛난다. 안정된 구도와 필치에서 문인화풍이 드러나며, 화면 상단에는 시와 '표암(豹菴)' 이라는 관서, '광지(光之)'라는 인장이 있다. _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 2025.06.28, 고려대학교 개교 120주년 특별전 _120주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의 <산수도>

_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86) , 1조선, 18세기, 종이에 옅은 채색(紙本淡彩),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최북이 가야산 홍류동 계곡을 대각선 구도로 단순화해 구성한 실경산수화이다. 짙은 안개와 넓은 처리로 공간감과 시적 분위기를 강조하였으며, 피마준과 수직 필선, 엷은 청색으로 식물과 물줄기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화면 하단에는 최치원의 시구와 ' 호생관(毫生館)'이라는 관서 및 '최북(崔北)'의 인장이 더해져 작가의 탈속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_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86) 2025.06.28, 고려대학교 개교 120주년 특별전 _120주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석가출가도>

_ 조선 15세기, 비단에 색, 금니, 쾰른동아시아미슬관석가모니 부처의 출가석가모니 부처의 일생을 그린 여러 폭의 그림 중 출가 장면을 그렸습니다. 그림 오른쪽에 그려진 큰 궁궐 건물 안에는 석가모니가 떠난 것을 알아차리고 슬퍼하는 태자비와 시녀들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화면 위 왼쪽에는 집을 나서 스스로 머리를 깎는 석가모니의 모습을 그렸고, 화면 아래쪽에는 슬퍼하는 아버지 정반왕과 빈 말을 붙들고 우는 태자비를 그렸습니다. 이 그림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지은 부처의 일대기인 『석보상절 』 등에 나오는 구절을 충실히 나타냈습니다 2025.06.21, 국립중앙박물관_새나라 새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장동팔경첩>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간송미술문화재단 , 독락정(獨樂亭) , 청풍계(淸風溪) , 대은암(大隱岩) , 취미대(聚微臺) , 청송당(聽松堂) , 수성동(水聲洞) , 필운대(弼雲臺) , 자하동(紫霞洞)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장동팔경첩입니다.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壯洞八景帖)>, 창의문(彰義門) (壯洞八景帖)>, 백운동(白雲洞) 2025.04.04, 호암미술관_겸재 정선'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연강임술첩>

우화등선(羽化登船)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서문(序文) : 홍경보(洪景輔) , 조선, 1742년, 개인소장우화등선(羽化登船) : 우화정에서 배에 오름 웅연계람(熊淵繫纜)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의적벽부(擬赤壁賦) : 신유한(申維翰) , 조선, 1742년, 개인소장 웅연계람(熊淵繫纜) : 웅연나루에 닻을 내림 우화등선(羽化登船)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 조선, 1742년, 34.5×95.7cm, 개인소장 웅연계람(熊淵繫纜) _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 조선, 1742년, 34.5×95.7cm, 개인소장 2025.04.04, 호암미술관_겸재 정선'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