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5

천은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_ 조선 1715년, 비단에 채색, 구례 천은사 팔상전(직지 성보박물관) 구례 천은사 팔상전 는 부처님을 중심으로 여러 권속이 설법을 듣고 있는 모습으로, 중앙에 키형 광배를 갖추고 가부좌를 한 채 항마촉지인을 한 부처님을 중심으로 좌우의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포함한 4위 보살과 여러 권속을 그렸다. 화풍 및 부처님의 높은 육계와 타원형의 얼굴, 상호 표현으로 보아 18세기 전반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화승(畵僧) 사신(思信) 스님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 수교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의 <고양이와 나비,개>

_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 , 조선 19세기, 비단에 색(絹本彩色)오른쪽 그림은 등이 검고 배는 하얀 고양이가 배추흰나비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며, 왼쪽 그림은 등이 보이고 앉은 개가 입을 벌린 채 왼쪽 위를 바라보는 모습이다. 고양이는 수염으로 주변의 물체 등을 감지하는데, 그림 속 고양이도 나비를 향해 수염을 치켜세운 모습이다. 고양이의 검은 등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으로 물들인 뒤 그 위에 먹으로 털을 한 올 한 올 덧그렸다. 고양이와 나비를 함께 그린 그림을 '묘접도( 猫蝶圖)'라고 하는데, 대게 장수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려졌다 2024.04.27, 국립중앙박물관_옛 그림 속 꽃과 나비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미황사 영산회상도

_ 조선 1718년, 비단에 채색, 해남 미황사(대흥사 성보박물관) 해남 미황사 는 중앙의 항마촉지인을 수한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여러 청중과 권속들이 설법을 듣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대좌 아래에는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6위의 보살과 제석천, 범천, 동녀가 대칭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최하단에는 사천왕을 그렸으며, 상단에는 가섭, 아난을 포함한 십육나한, 타방불 4위가 석가모니 부처님의 옆에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현존하는 사례가 드문 18세기 초 전라도 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성보이다. 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_수교회향'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 포장

2024.05.02일 07시부터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 포장을 하고 있습니다.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 포장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포장된 상태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포장 공사중 해드린청허하우스에서 바라본 진입로 해드린 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 포장하는 광경 해드린청허하우스 진입로 아스콘 포장은 오늘 12시에 완료되겠네요 해드린청허하우스 해드린청허하우스에서 바라본 차령산맥과 예당저수지 풍광 2024.05.02.목요일, 해드린청허하우스'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신명연(申命衍)의 <꽃(花卉)>

_ 신명연(申命衍, 1809~1886), 조선 19세기, 비단에 색(紙本彩色), 국립중앙박물관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피는 여러 가지 꽃을 그렸다. 문인화가 신명연은 큰 줄기는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색으로만 표현했지만, 꽃이나 작은 가지는 얇은 선으로 형상을 그린 뒤 옅은 색으로 덮는 기법을 구사했고, 대조적인 색을 배치해 화려하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했다. 신명연은 원예 경험과 서적으로 지식을 축척한 뒤 화훼 화보를 참고하여 그림을 그렸다. 여백에는 그림 속 꽃과 관련된 역대 명시의 구절이나 청나라 때의 식물 백과사전인 『광군방보(廣羣芳譜) 』의 내용을 정갈한 해서체로 써 놓았다. _ 신명연(申命衍, 1809~1886)  _ 신명연(申命衍, 1809~1886)  _ 신명연(申命衍, 1809~188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