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9호 _ 김복한 묘 (金福漢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산70-4
시 대 : 1924년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지산(志山) 김복한(1860∼1924)의 묘소이다.1892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홍문관 교리가 되었고 이후 여러 벼슬을 지냈다. 1894년 승정원 승지에 올랐으나 6월 갑오개혁으로 일본의 간섭이 시작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다. 8월에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고 이에 이설·이근주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홍주목사 이승우에게 체포되었다. 고종의 특사로 석방된 후 세상과 인연을 끊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여 문하생이 수백 명에 이르렀다.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역신들을 참수하여야 한다는 상소를 올려 감옥에 갇히고, 1910년 유림의 대표로 파리평화회의에 독립을 호소하는 긴 글을 보냈다가 투옥되었다. 건강상의 이유로 90여 일만에 석방된 뒤 문하생 수가 늘어나 인지재(仁智齋)라는 강당을 세우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다가 1924년에 세상을 떠났다.홍성군 서부면에 묘와 사당이 세워져 있으며, 묘 앞에는 비석과 상석이 놓여 있다.
김복한 묘 표지판
추양사(秋陽祠) 전경
추양사 표지판
志山金福漢先生抗日事蹟碑(지산김복한선생항일사적비)
추양사 홍살문
추양사(秋陽祠)
일생을 항일운동에 바친 지산(志山) 김복한( 金福漢 , 1860∼1924) 선생의 영정을 봉안한 추양사(秋陽祠)
추양사 전경
김복한 묘 (金福漢 墓) 전경
김복한 묘 (金福漢 墓)
지산(志山) 김복한( 金福漢 , 1860∼1924)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오(元五), 호는 지산(志山). 충청남도 홍주 출신.
189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홍문관부교리, 이듬해에는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에 제수되었으며 성균관대사성·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94년 승정원승지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그 해 6월에 갑오경장이 시작되자, 기울어져가는 국운을 한탄하며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 자정(自靖)하기로 결심하였다.
이듬해 8월에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내리자, 이설(李偰)·안병찬(安炳瓚) 등과 같이 홍주목사 이승우(李勝宇)에게 권유해 항일의병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승우가 일제와 내통함으로써 일본군에게 잡혀 투옥되었다.
곧 고종의 특지로 석방되어 성균관장·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었으나, 왜적과 역적들을 토벌하지 못했다 하여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몰두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이설과 함께 이지용(李址鎔)·박제순(朴齊純)·이완용(李完用) 등 5적의 참수를 간청하는 소를 올리다가 투옥되었다.
1906년에는 민종식(閔宗植)과 홍주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싸우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07년에도 의병 은닉과 민심 선동 등의 혐의로 체포되었다. 공주로 압송되는 도중에 일본순검에게 무수히 구타당하고 어렵게 목숨을 건졌으나, 그 후유증으로 평생 식사와 용변을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1910년 우리 나라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병탄된 뒤로는 일제의 심한 감시 속에 두문불출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문인 임경호를 상경시켜 유림대표들과 협의하게 하였다.
또 영남의 곽종석(郭鍾錫)과 함께 호서 유림을 대표해 전국 유림 137명의 서명을 받아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인 파리장서(巴里長書)를 발송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복한 묘 (金福漢 墓)
김복한 묘 석조물은 상석, 향로석, 묘비 2기, 좌우 망주석 1쌍이 설치되어 있다.
김복한 묘 (金福漢 墓)
김복한 묘 (金福漢 墓)
朝鮮國大司成志山金先生諱福漢之墓(조선국대사성지산김선생휘복한지묘)
配淑夫人延安李氏袝左(배숙부인연안이씨부좌)
김복한 묘 (金福漢 墓) 후경
2023.11.13,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김복한 묘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1호_충청수영 장교청 (25) | 2023.12.26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3호_충청수영 진휼청 (18) | 2023.12.25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98호_고창향교 대성전, 고창향교 (38) | 2023.11.24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5호_선운사 도솔암 내원궁 (42) | 2023.11.10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0호_나한전 (4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