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294호 _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수 량 : 1점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시 대 : 조선시대
조선시대 백자들은 대개 단순한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다채로운 색채의 사용을 절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높이 42.3㎝, 아가리 지름 4.1㎝, 밑 지름 13.3㎝인 이 병처럼 하나의 작품에 붉은색 안료인 진사, 검은색 안료인 철사, 푸른색 안료인 청화를 함께 장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형태는 가늘고 긴 목에 풍만한 몸통과 약간 낮은 굽을 하고 있다. 굽은 선을 그은 듯이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으며, 아가리는 그대로 끊어내어 날카로운 맛이 있다. 18세기 전반경의 백자 병은 아가리 끝이 밖으로 살짝 벌어지거나 말린 것이 많은 것에 비해 드물게 보이는 형태이다.
병의 앞뒤 면에는 국화와 난초를 그렸으며, 벌과 나비들이 노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무늬는 돋을무늬로 난초는 청화, 국화는 진사, 국화줄기와 잎은 철사, 벌과 나비는 철사 또는 진사로 채색하였다.
이 병은 같은 종류의 조선 백자 중 크기가 큰 편에 속하며 유약의 질, 형태의 적절한 비례감, 세련된 문양표현으로 보아 18세기 전반경 경기도 광주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294호 _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단정하고 당당한 형테를 가진 병의 몸통에 우측으로 비스듬히 올라간 국화문과 좌측으로 가느다랗게 뻗은 3줄기 난초를 시문했다. 양각으로 처리한 국화는 동화로 채색되었으며, 국화줄기와 잎은 철화로 장식되었다. 난초는 청화로 장식되었는데, 운필에 능숙하고 발색 또한 선명하다. 공간을 구획하는 선이나 종속 문양대가 없으며, 대형병임에도 목 위로는 문양을 생략해 번잡함을 피했다. 국화 좌측 상단에 동화로 채색된 곤충은 여백을 갈무리하며 생동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화려한 채색 문양과 정갈한 유백색(乳白色) 유약이 대비와 조화를 이루며 조선 사대부의 품격과 흥취를 오롯이 전해주고 있다.
1936년 경성미술구락부에서 일본의 거상 야마나카 상회를 물리치고 14,580원에 낙찰 받은 최상의 백자이다.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2019.01.13, 삼일운동 100주년 간송특별전 대한컬랙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302호_청곡사 영산회괘불탱(2019.01.20) (0) | 2019.01.29 |
---|---|
77년만에 진주로 귀환한 국보 제105호_산청 법학리 삼층석탑(2019.01.20) (0) | 2019.01.21 |
국보 제270호_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0) | 2019.01.15 |
국보 제74호_청자 오리모양 연적 (0) | 2019.01.15 |
국보 제68호_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