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비지정문화재

남해 용문사 서방광목천왕 삼베 두르마기, 남해 용문사 사천왕상

기리여원 2022. 6. 12. 06:23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_ 조선시대, 남해 용문사

 

사천왕 내부에 들어있던 복식 -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1702년 조성된 남해 용문사 목조사천왕상 중 서방 광목천왕상과 북방 다문천왕상 내부에서 후령통, 다라니 외 북장물이 발견되었다. 복식은 모두 12점으로 광목천왕의 삼베 두루마기는 깃 부분에 태천희성(太天熙性)이라는 먹 글씨가 있다. 희성스님은 1666~1703년 이뤄진 용문사의 전각 불사에 공이 있다. 다른 복식에도 승려의 법명(法名)으로 추정되는 글자가 있다. 복장물에서 승려복식이 다수 발견된 경우는 용문사 사천왕상이 유일하다. 스님들이 불법(佛法)의 수호신인 사천왕이 되어 나라와 용문사를 지키려는 바람이 담긴 것으로 짐작된다.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및 북방 다문천왕

 

에는

용을 든 서방 광목천왕

창을 든 북방 다문천왕

 

남해 용문사 목조사천왕상

 

용문사 사천왕상 탐관오리를 밟고 있다.

 

용문사 사천왕 내  좌우측에 목조천왕좌상이 각각 2구씩 배치되어 있다. 향우측에 동방 지국천왕, 남방 증장천왕, 향좌측에 서방 광목천왕, 북방 다문천왕이 위치하며, 4구 모두 발을 아래로 내린 기형으로 발밑에는 탐관오리 1구씩 각각 밟고 있다.

두부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몸에는 갑옷을 착용하였는데, 양쪽 어깨에서 발 아래까지 천의자락이 흘러내리고 있다. 손의 지물로 동방은 비파, 서방은 용과 여의주, 남방은 장도, 북방은 보차를 쥐고 있다. 상호 방형이며 모두 분홍색이나, 다문천왕상은 적색을 띤 검푸른빛의 육신색을 발라 구별하고 있다.

보관은 일부 장식들이 탈락한 것으로 보이나, 현재 증장천왕을 제외한 나머지 천왕들의 경우 무궁화를 장식하고 두 마리의 봉황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각종 꽃으로 장식하였다. 증장천왕의 경우 보관 중앙에 날개를 크게 편 봉황 한마리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 꽃과 화염문을 장식하였다.

착의는 견갑, 흉갑, 복갑, 요갑을 입었고, 머리 뒤쪽에서부터 발끝까지 대의가 늘어뜨려져 있는데 두부에 위치한 천의에는 대형 화염문이 장식되어 있고 하반신 아래 부분에는 8자로 매듭지어 있다. 증장찬왕과 다문천왕의 대의는 결실된 상태이다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2022.06.03. 부산박물관_치유의 시간, 부처를 만나다
전시자료, 남해 용문사 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