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1501호_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

기리여원 2022. 6. 13. 13:39

보물 제1501호 _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 (李德成 肖像 및 關聯 資料 一括)

 

수  량 : 초상 1점, 전적 5건, 고문서 4종 121점

지정일 : 2006.12.29

소재지 : 부산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시립박물관 (대연동,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후기(18세기)

 

이덕성(1655-1704)은 본관이 전주(全州)로 1682년 춘당대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동래부사, 해주목사, 황해도관찰사, 충청감사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덕성 초상>은 높은 오사모에 녹색 단령을 입고 좌안칠분면의 자세로 교의에 앉은 모습이며 배경은 없다. 얼굴은 가는 선묘를 사용했으며 홍조를 표현하고 명암을 살짝 가했다. 육리문은 없으며 수염이 길고 구불거리게 묘사되었다. 단령은 비교적 가늘고 짙지 않은 먹선으로 윤곽과 의습선을 표현하였고 명암을 조금씩 가했다. 쌍학흉배는 밝은 녹색을 바탕으로 단정학과 오색구름을 세필로 화려하게 그렸고, 삽화금대도 정교하게 묘사하였다. 짙은 먹으로 묘사된 교의를 덮고 있는 표범가죽은 가늘고 구불구불한 선으로 사실적으로 그렸다. 정형화된 공신도상으로부터 보다 자연스러운 형식으로 변모하던 18세기 초엽의 정교한 작품으로 중요한 사례이다.

 

이덕성 관련 고문서는 교서 3점, 유서 3점, 교지·교첩 114점, 시권 1점 등 모두 121점으로 백패와 홍패를 비롯하여 관직을 제수받았을 때의 관련교지가 흩어짐 없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이덕성의 이력사항 및 전기자료로서 사료적인 가치가 있으며 인사·행정에 관한 연구자료가 된다. 또한 그의 몇몇 필적도 왕실유물 및 서예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Ο 규격(세로x가로) : 초상 167 x 99cm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 표지판

 

선비가문의 정신 이은창 · 이성주 선생 기증문화재

 

2007년 보물 제1507호_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 132점을 기증하고, 

2008년 부산광역시 제84호-이덕성 가문 문적과 이덕성 가문 전적 79점을 기증하였다.

 

이덕성 초상화

 

 

문사발우(文史拔優) - 조선, 1682년, 이은창 ·이성주 기증

 

문사발우(文史拔優) 은  이덕성이 문학사상 훌륭한 글을 발췌하여 필사한것

 

반곡공수묵(般谷公手墨) _ 조선 1700년경, 이은창 · 이성주 기증

 

반곡공수묵(般谷公手墨)은 이덕성이 1700년경(숙종 26)에 자신의 근황과 주변사를 적어 아들에게 보낸 편지이다.

 

봉래별장첩(蓬來別章帖) _ 조선 1688년, 남요익(男龍翼, 1626~1692년) 등, 이은창 · 이성주 기증

 

봉래별장첩(蓬來別章帖)은 1688년(숙종 14) 1월 초 이덕성이 동래부사(東萊府使)로 부임할 때 친우(親友) 47명과 조카 4명에게서 받은 송별시(送別詩)를 모은 첩(帖)이다.

 

봉래별장첩(蓬來別章帖) 

 

 

봉래별장첩(蓬來別章帖) 

 

 

보물 제1501호 _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 (李德成 肖像 및 關聯 資料 一括)

 

 

이덕성 백패(李德成白牌) _ 조선 1677년, 이은창 · 이성주 기증

 

이덕성 백패는 이덕성의 진사 합격증이다.

 

이덕성 홍패(李德成紅牌) _ 조선 1682년, 이은창 · 이성주 기증

 

이덕성 홍패는 이덕성의 문과 급제 합격증이다.

자의대비 옥책 초본(慈懿大妃玉冊草本) _ 조선 1687년, 이은창 · 이성주 기증

 

1661년(현종 2) 7월 자의대비(慈懿大妃)에게 '공신(恭愼)'의 존호를 올리면서 만든 옥책(玉冊)이 1687년(숙종 13) 9월 화재로 불타서 그 해 11월에 다시 만들게 되었다. 이 초본은 옥책문(玉冊文)의 내용을 새로 지어 오릴 때 써둔 것이다.

옥책문은 자의대비의 공덕을 칭송하면서 공신이라는 존호를 올리고 길이길이 수복을 누리길 빈다는 내용으로 지어진 사륙변려문(四六駢儷文)으로, 문학적으로도 가치가 뛰어난 한문학작품이다.

 

헌릉신도비명 원본(獻陵神道碑銘原本) _ 조선 1695년,  이은창 · 이성주 기증

 

조선 태종(太宗)의 허능(獻陵)에 세운 신도비(神道碑)가 임진왜란때 훼손이 되자 1695년(숙종 21)에 이를 다시 재건하면서 왕명에 따라 이덕성이 쓴 비문 원고이다.

 

헌릉신도비명 원본(獻陵神道碑銘原本)

 

 

헌릉신도비명 원본(獻陵神道碑銘原本)

 

2022.06.03. 부산박물관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