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_ 의성 고운사 명부전, 1670
신유한의 고운사중수기(1729)에는 1670년(현종 11)에 명부전과 존상들이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지장보살상이 두 손을 낮게 두고 있는 점, 정방형의 얼굴에 기다란 귀와 매부리코로 대표되는 상호 표현 등에서 단응(端應) 스님의 특징이 보여 조각승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소영 신경(昭影神鏡) 스님이 고운사에 주석하며 불사를 관장하던 시기로 명부 존상의 조성과 신경 스님의 연관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시왕상의 착의나 의습선(衣褶線) 표현이 화려하며, 의복과 의자 내부에 다양한 인물상이 표현되어 있어 독특하다. 최근 이운 과정에서 지장보살좌상 대좌 하단 좌복의 명문에 1725년(영조 1) 지장보살을 중수한 기록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성 고운사 <연수전 기문 현판> (5) | 2023.07.29 |
---|---|
의성 고운사 <연수전 상량식 현판> (4) | 2023.07.29 |
춤추는 여인 토우(土偶) (3) | 2023.07.13 |
이건희컬렉션, 말모양 뿔잔 (6) | 2023.06.23 |
이건희컬렉션, 배모양 토기 (6)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