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3호 _ 이광임선생 고택 (李廣任先生 故宅)
수 량 : 1구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 334-5
이광임(1784∼1857)이 조선 순조 20년(1820)에 지은 목조기와집으로 ㄱ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그리고 행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 모양을 하고 있다. 경사진 곳에 여러 단으로 땅을 고르게 하여 지었는데, 건물기단과 마당의 높낮이가 심하여 변화있는 외부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7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왼쪽부터 방·대청·방·방·부엌으로 되어있다. 대청은 2칸이고 오른쪽 2개의 방은 필요에 따라 통칸으로 쓸 수 있게 되어있으며, 부엌은 뒤쪽에 들이고 앞쪽으로는 누다락을 두었다. 이러한 구조는 이 지역의 특색을 엿볼 수 있다.
아들인 이승유의 효자정려 현판이 걸려있어 효도와 우애로 유서 깊은 건물임을 알 수 있다.
이광임 선생 고택은 자연을 최대로 활용하여 지은 집으로, 당시 중류 양반집의 생활 및 건축양식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광임선생 고택 표지판
이광임선생 고택 표지석
이광임선생 고택 전경
이승유의 효자정려
이광임(1784∼1857)의 아들인 이승유(李承瑜)의 효자정려 현판
이광임선생 고택 전경
이광임선생 고택은 조선 순조 때의 선비인 이광임이 거처하던 곳으로 동향하여 경사진 땅을 정지하여 여기에 一자형의 사랑채와 ㄱ자형의 안채, 그리고 一자형의 행랑채가 전체적으로 튼ㅁ자형을 이루며 배치되고 있다
이광임선생 고택 사랑채
정면 7칸, 측면 3칸에 一자형 평면으로 된 사랑채는 중앙부분에 있는 2칸통간의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2칸의 사랑방이, 좌측에는 1칸의 건넌사랑방이 있는데 대청의 전면에는 4분합 띠살 들어열개이고 사랑방과는 각각 3분합 맹장지 들어열개로 처리하여 필요할 때 사랑채 전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랑채에 걸려 있는 현석산방(玄石山房) 현판
사랑채
사랑채 좌 우측면
一자형의 행랑채 후면
이광임선생 고택 안채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에 한 칸 폭으로 3칸 붙여 ㄱ자형을 이룬 건물로서 중앙에 우물마루에 삿갓천장을 한 4칸통간의 넓은 대청이 있고 대청 우측으로는 2칸통간의 안방과 1칸의 웃방이 외여닫이 띠살문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안방 동측으로는 2칸의 부엌이 붙어 있는데 그 위는 누다락으로 사용하고 있다.
안채 후면과 행랑채 측면
'ㄱ'자형 안채 후면
'ㄱ'자형 안채 후면
'ㄱ'자형 안채 측면
* 내부는 개방이 되지 않아 외부에서만 답사하였습니다.
2023.08.13.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 이광임선생 고택
글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유형문화재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9호_청양 최익현압송도 (26) | 2023.09.01 |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8호_청양 최익현초상 (25) | 2023.09.01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4호_청양 영모재 (16) | 2023.08.24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4호_예산 천방사 금동여래좌상 (5) | 2023.08.14 |
충청남도 기념물 제164호_예산 성당 (8)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