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 12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0호_예천읍 사무소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0호 _ 예천읍사무소 (醴泉邑事務所) 수 량 : 1동 지정일 : 2001.11.01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예천읍 효자로 89 (노하리) 시 대 : 1932년 이 건물은 1932년에 일제가 이 지역 16개 동을 관할하기 위해 지은 사무소로 1937년부터 예천읍사무소로 사용해 오고 있으며, 1979년 이 건물 뒤쪽에 붙여 철근 콘크리트조 2층 사무실을 증축하였다. 예천읍사무소는 읍내 중심 가로에 면하여 동서로 약간 길게 남향 배치된 붉은 벽돌쌓기 2층 건물로 모임지붕을 이엇으며, 정면 중앙의 현관 포치(Porch)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평면은 동서가 약간 긴 장방형으로 1·2층 모두 통간(通間) 구성이었으나 현재 칸막이벽을 설치하여 1층은 민원봉사실과 창고, 2층은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_예천권씨종가문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_ 예천권씨종가문적 (醴泉權氏宗家文籍), 해동잡록(海東雜錄) 수 량 : 일괄 지정일 : 1983.06.20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166-3번지 이 문적은 예천 권씨 종택 안의 백승각(百承閣)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이다. 조선 인조 때 학자인 죽소 권별(權鼈,1589∼1671)이 저술한 것으로 국내 최초의 왕조별, 인물사전류인『해동잡록』과『죽소일기』등 2가지이다. 『죽소일기』는 권별이 직접 쓴 본으로 1책이며, 1625년부터 1626년까지의 일기이다.『해동잡록』은 인물을 왕조별, 성씨별로 분류하고 그들의 학문과 설화를 중심으로 14권 14책으로 엮은 문헌설화집이다. 최초의 인물사전이란 점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어지는 것이다. 예천권씨종가문적 (醴泉權氏宗家文籍..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13호_시흥 옛 소래염전 소금창고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13호 _ 시흥 옛 소래염전 소금창고 수 량 : 2동 지정일 : 2022.04.06 소 재 지 : 경기도 시흥시 동서로 287 (장곡동), 시흥 갯골생태공원 시 대 : 일제강점기 이후 1934년 기준, 시흥의 소래염전이 속하였던 인천출장소의 소금 판매 인원은 조선인 23명, 일본인 6명이었다. 이들 특약 판매원에게 넘겨진 소금에 이윤이 붙어 소비자에게 전달되었다. 일제는 세금을 징수하기 위하여 밀염(蜜鹽), 즉 비밀리에 만들어내는 소금, 그리고 중국에서 들여오는 밀수소금에 관한 취재를 엄격히 하였다. 소금값이 형편없는 오늘날에는 소금창고에서 흠쳐갈 물건이 없을 수 있지만, 당대에는 고가의 전매품을 보관하는 보물창고였덤 셈이다. 이러한 보물창고가 갯골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배치되어 있었고..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4호_삼강 주막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4호 _ 예천 삼강주막 (醴泉 三江酒幕) 수량/면적 : 1동 28.67 ㎡ 지정일 : 2005.11.20 소 재 지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27 삼강주막은 삼강나루의 나들이객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주고 보부상들의 숙식처로, 때론 시인묵객들의 유상처로 이용된 건물이다. 1900년 경에 지은 이 주막은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충실한 집약적 평면구성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역사 자료로서 희소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옛 시대상을 읽을 수 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의의를 간직하고 있다. 예천 삼강주막 표지판 예천 삼강주막 예천 삼강주막 현판 예천 삼강주막 좌 · 우측면 에천 삼강주막 좌측면 예천 삼강주막 우측면 예천 삼강주막 마루 예천 삼강주막 부엌 삼강주막 뒤 450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9호_예천 남악종가 소장 전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9호 _ 예천 남악종가 소장 전적 (醴泉 南嶽宗家 所藏 典籍), 금곡서당창립회문(金谷書堂 創立回文) 수 량 : 8종 14책 지정일 : 2019.10.21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시 대 : 조선시대 예천 남악종가 소장 전적은 『금곡서당 창립회문(金谷書堂 創立回文)』(1冊), 『가사고증(家史攷證)』(3冊), 『당후일기(堂後日記)』(1冊) 등 3종 5책의 일괄 유물이다. 『금곡서당 창립회문』은 南嶽 金復一(1541∼1591)의 친필 필사본으로 예천의 금곡서당 건립을 위해 1569년(선조 2)에 작성한 회문으로, 서당 건립에 대한 목적과 취지를 담고 있다. 조선전기 서당 창립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가사고증』은 上中下 3冊으로 구성된 필사본인데, 석천(石泉) 김정식(金庭植,..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47호_예천 향석리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_ 예천 향석리 석조여래좌상 (醴泉鄕石里石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190-2번지 시 대 : 고려 전기 추정 오랜 세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1914년 보호각을 세우고 보광전이라 이름지어 옮겨 놓은 것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고려말 죽산 부원군이었던 김원발이 마을에서 분쟁이 자주 일어나자 지리적 영향이라 믿고 부처님의 자비로 막아 보려는 의도에서 불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풍만한 둥근 얼굴에 눈은 반쯤 감겨 있고 코는 떨어져 나간 것을 보수하였다.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돌려졌는데 현재는 시멘트로 붙여놓았다. 옷은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있으며, 화려한 옷주름은 무릎까지 덮여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5호_예천 연방사 신중탱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5호 _ 예천 연방사 신중탱화 수 량 : 1폭 지정일 : 2016.04.28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예천읍 대창학교길 39-4 시 대 : 조선시대 예천 연방사 소장 신중탱화는 세로 159㎝, 가로 123㎝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한 패널형식의 신중탱화이다. 화면 중앙에 위태천을 배치하고 그 위쪽에 범천과 제석천을 배치한 역삼각형 구도를 중심으로, 상단에는 일월천자, 천자, 천동과 천녀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에는 위태천 주변에 신장상, 용왕 등을 배치하였다. 전체적인 채색은 주색과 녹청색, 백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금색과 청색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화면 하단의 畵記에 의하면, 1811년(嘉慶 16)에 수화승 定敏 외에 斗贊이 제작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화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