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남양주시 봉선사 2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3호_ 남양주 봉선사 목조불좌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3호 _ 남양주 봉선사 목조불좌상 수    량 : 1구지정일 : 2011.03.08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길 32 (진접읍, 봉선사) 불상이나 스님이 가사를 입는 방법은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싸는 방법과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앞의 것을 통견(通肩)이라고 하고 뒤의 것을 우견편단(右肩偏袒)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대부분의 불상들은 통견 차림이고 이 불상처럼 우견편단을 한 예는 매우 드물다. 봉선사 불상은 우견편단의 옷차림새를 한 드문 예로, 신체비례와 인자한 얼굴 표정, 당당한 자세와 부드러운 옷자락 표현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얼굴이 둥글고 앳댄 모습인데, 가늘게 치켜 뜬 눈과 살포시 ..

봉선사 편액

_ 근현대, 나무, 봉선사 운하당봉선사 경내 운하당(雲霞堂) 건물에 결려 있으며 검은 바탕에 '봉선사(奉先寺)' 글자를 음각하여 흰색으로 칠하고, 편액 주변에 연꽃과 덩쿨 무늬를 그려 장식하였습니다. 편액은 서예가 김기승의 글씨로 굵은 해서로 쓴 유려한 필치에서 생동감과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편액 2024.09.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