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레오폴트미술관 3

클로만 로저의 <구름 습작>, <레장(르 샤모세르산)>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14년경,  카드보드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색체의 실험, 모저의 풍경화비엔나 디자인 공방을 떠난 콜로만 모저는 회화 작업에 집중했고 특히 풍경화를 즐겨 그렸다. 1913년 제네바에서 스위스 상징주의 화가 페르디낭 호들러를 만났다. 호들러가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단순한 형태와 선명한 색체는 모저의 학풍에 영향을 주었다. 1916년까지 을 포함해 볼프강 호수를 그린 여러 점의 풍경화를 남겼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13년,  캔버스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오스카 코코슈카의 <목화 솜 따는 소녀>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1908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 포스터 오스카 코코슈카는 구스타프 클림트와 요제프 호프만의 제안으로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의 포스터를 디자인했다. 직선적이고 단순한 윤곽선, 음영이 없는 색면의 사용, 두꺼운 서채 등은 비엔나 분리파가 만든 포스터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이 포스터는 루돌프 칼바흐가 디자인한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 또 다른 포스터와 매우 비슷한 양식이다. 코코슈카와 칼바흐는 비슷한 시기에 비엔나 예술공예학교에서 공부했으므로 동료로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에곤 실레의 <작은마을 Ⅲ>

_ 에곤 실레(1890~1918, 오스트리아), 1913년, 캔버스에 유화, 연필, 레오폴트미술관 크루마우의 블타바강 가에 있는 마을 풍경을 그렸다. 그러나 마을을 있는 그대로 그리지 않고 실레의 기억에 남은 풍경의 조각들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표현했다. 색색의 건물들이 어두운 강변을 따라 그려져 있어 장식적인 느낌을 준다. 이 작품에서 건물들은 여러 색을 띠고 있지만 지붕과 길, 강은 검은 색조로 표현되어 전반적으로 어두운 느낌을 준다. 실레는 자신이 머물렀던 도시의 암울한 분위기, 스스로 느꼈던 고립감과 소외감을 검은색으로 표현해 생명력을 잃은 죽은 도시를 그려 냈다. _ 에곤 실레(1890~1918, 오스트리아)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 ▼보시고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