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 _ 진주 의암 (晋州 義巖)
지정일 : 2001.09.27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논개길 16 (본성동)
의암은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바위이다.
조선조 선조 26년(1593) 6월 29일,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민관군이 순절하자, 논개는 나라의 원수를 갚기 위해 왜장을 유인하여 이 바위에서 순국하였다. 이에 논개의 순국정신을 현창하기 위해 영남사람들이 의암이라고 명명하였다.
인조 7년(1629) 진주의 선비 정대륭(鄭大隆:1599∼1661)은 바위의 서쪽 벽면에 의암이라는 글자를 전각하였고, 남쪽에는 한몽삼(韓夢參:1598∼1662)이 쓴 것으로 전하는 의암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의암의 바닥 넓이는 3.65m×3.3m이다. 옆의 암벽에는 “한 줄기 긴 강이 띠를 두르고, 의열은 천년의 세월을 흐르리라(일대장강(一帶長江) 천추의열(千秋義烈))”는 글이 새겨져 있다.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 _ 진주 의암 (晋州 義巖)
의암은 임진왜란 때 논개(論介)가 순국한 바위를 말합니다. 조선 선조 26년(1593) 6월 29일(음력)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명의 민 · 관 · 군이 순절하자 논개가 의암에서 왜장을 끌어 안고 남강에 투신하여 순국했습니다. 이에 논개의 의열(義烈)을 기리고자 진주의 선비와 백성들은 이 바위를 기리고자 진주의 선비와 백성들은 이 바위를 "의로운 바위'즉 의암이리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인조 7년(1629) 정대륭(鄭大隆)이 바위의 벽면에 의암이라는 글자를 새겼습니다. 위험한 바위라하여 위암(危巖)이라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영상 ;문화재청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 _ 진주 의암 (晋州 義巖)
'기념물 >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기념물 제199호_남해 당항리 느티나무(2020.11.02) (0) | 2020.11.07 |
---|---|
경상남도 기념물 제152호_만어산 어산불영 (0) | 2020.11.06 |
경상남도 기념물 제83호_의령 충익사 모과나무 (0) | 2020.10.08 |
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_충렬사 동백나무(2015.01.11.일요일) (0) | 2019.06.06 |
자식에게 화가 미치지 않은 무환자 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96호_진주 정평리 무환자나무(2019.01.20) (0) | 2019.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