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209호 _ 대전 회덕 동춘당 (大田 懷德 同春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대전 대덕구 동춘당로 80 (송촌동)
시 대 : 조선 효종
조선 효종 때 대사헌, 이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1606∼1672)선생의 별당(別堂)이다. 늘 봄과 같다는 뜻의 동춘당(同春堂)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것으로 이곳에 걸린 현판은 송준길 선생이 돌아가신 6년 후 숙종 4년(1678)에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조선시대 별당 건축의 한 유형으로, 구조는 비교적 간소하고 규모도 크지 않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평면으로는 총 6칸 중 오른쪽 4칸은 대청마루이고 왼쪽 2칸은 온돌방이다. 대청의 앞면·옆면·뒷면에는 쪽마루를 내었고 들어열개문을 달아 문을 모두 들어 열면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차별없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룬다. 또한 대청과 온돌방 사이의 문도 들어 열 수 있게 하여 필요시에는 대청과 온돌방의 구분없이 별당채 전체를 하나의 큰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물의 받침은 4각형의 키가 높은 돌을 사용했는데, 조선 후기의 주택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이다.
동춘당은 굴뚝을 따로 세워 달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왼쪽 온돌방 아래 초석과 같은 높이로 연기 구멍을 뚫어 놓아 유학자의 은둔적 사고를 잘 표현하고 있다. 즉, 따뜻한 온돌방에서 편히 쉬는 것도 부덕하게 여겼기 때문에 굴뚝을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유학적 덕목을 유지하려 했던 것이다.
2012~2013년 지붕 보수과정에서 종도리 하부면에서 1617년 상량과 1649년 이축내용이, 또한 종도리 장여 상부면에서 1709년 중수상량과 경과 등의 기록이 발견되었다.
대전 회덕 동춘당 표지판
입구에 설치된 대전 회덕 동춘당 모형
대전 회덕 동춘당
대전 회덕 동춘당
대전 회덕 동춘당
대전 회덕 동춘당 현판
현판은 1678년(숙종 4)에 우암 송시열의 글씨임.
대전 회덕 동춘당
동춘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一자 모양의 평면으로 된 단층팔작지붕이며, 앞면을 널찍하게 다듬은 돌로 쌓은 단층기단 위에, 다듬은 돌 초석을 놓고, 방주(方柱)를 세워 주두 없이 직접 굴도리를 받친, 민도리집 양식이다.
대전 회덕 동춘당
대전 회덕 동춘당 우측면
대전 회덕 동춘당 좌측면
대전 회덕 동춘당
대전 회덕 동춘당 후면
대전 회덕 동춘당 정면
대전 회덕 동춘당 담장 밖에 활짝 핀 산수유
2022.03.20. 대전 회덕 동춘당
글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623호_성수침 필적 (0) | 2022.03.22 |
---|---|
보물 제1482호_이시방 초상 (0) | 2022.03.21 |
보물 제1829호_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22.03.21 |
보물 제650호_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 (0) | 2022.03.10 |
보물 제649호_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0) | 202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