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1860년, 종이에 수묵,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히는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가 62세에 그린 것이다. 현존하는 신위의 묵죽 병풍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10폭 작품이며 유일하다.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신위의 작품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의 묵죽도이며, 시구(詩句)를 본격적으로 적어 넣은 초기 작례이다.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묵죽도(墨竹圖屛風)>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2022.07.10. 서울역사박물관_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컬렉션, 김정숙(金貞淑)의 <비상> (0) | 2022.07.20 |
---|---|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창의문도> (0) | 2022.07.19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 행서대련> (0) | 2022.07.03 |
남벌 초상(南橃 肖像) (0) | 2022.07.02 |
이광사(李匡師)의 <칠언 율시> (0) | 202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