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릉도원(武陵挑源)> _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1897~1972), 1922, 비단에 채색, 10폭 병품
병풍이 제1폭 뒷면에 적혀 있는 "청전무릉도원"이라는 표제는 이 작품이 동양의 이상향을 대표하는 도연명의 「도화원기 」를 그린 시의도임을 알려준다. 화면 상단에는 당나라 문인 왕유가 도연명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도원행 」이 관재 이도영(1884~1934)의 글씨로 적혀 있다. 주제나 표현 기법 등에서 전통적인 요소가 강하지만, 화면 왼쪽에 대각선으로 펼쳐진 진인동 장면에만 일점투시도법을 적용하여 사실적인 공간감을 나타낸 것은 근대적 시점의 수용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2021.08.03, 국립현대미술관_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한국미술명작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미법산수도> (0) | 2022.07.28 |
---|---|
이건희컬렉션, 김동우의 <가족> (0) | 2022.07.27 |
이건희컬렉션, 최종태의 <손> (0) | 2022.07.25 |
강희안(姜希顔)의 <청산모우> (0) | 2022.07.23 |
이건희컬렉션, 권진규(權鎭圭)의 < 손>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