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정선화첩(謙齋鄭敾畵帖)> _ 독일, 2005년, 조선, 18세기,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금강내산전도(金剛內山全圖)
겸재 정선(1676~1759)의 작품이 수록된 화첩이다. 진경산수화, 고사인물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담은 20점의 작품이 실려 있으며, 각 작품들은 제작 시기가 달라 화풍, 재료, 재질 등에서 차이가 난다. 독일 상트오틸리엔수도원의 초대 총아빠스(Archiabbas, 대수도원장)를 지낸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6~1956년)가 선교를 위해 한국을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이다. 독일 상트오틸리엔수도원과 왜관수도원의 오랜 신뢰 관계에 힘입어 2005년 영구대여 방식으로 왜관수도원에 돌아왔다
겸재정선화첩(謙齋鄭敾畵帖)
<기려귀가도(騎驢歸家圖)> 나귀 탄 선비가 동자를 거느리며 집으로 향하는 모습
<풍우기려도(風雨騎驢圖)> 바람이 매섭게 부는 날 길을 나선 나귀 탄 나그네의 모습
<압구정도(鴨鷗亭圖)> 한강 남단 압구정 구경 경관
<기우취적도(騎牛吹笛圖)> 소를 탄 아이가 피리를 불며 길을 가고 있는 모습
<연광정도(練光亭圖)> 연관정을 중심으로 펼쳐진 평양성의 경관
<일출송학도(日出松鶴圖)> 일출을 배경으로 해변가 노송(老松)가지 위에 학이 서있는 장면
<구룡폭도(九龍瀑圖)> 외금강(外金剛)의 명소 구룡폭포의 모습
<만폭동도(萬瀑洞圖)> 금강의 명소 만폭동 일대의 경관
<부강정박도(涪江停泊圖)> 북송대 유학자 정이(程颐))가 유배를 가던 중 부강을 지나는 장면
<고산방학도(孤山放鶴圖)> 눈 덮인 산 속 매화나무에 기대어있는 오월국(吳越國)의 시인 임포(林逋)
정선 필 <금강내산전도(金剛內山全圖)> , 54.5×33.0cm, 왜관수도원 소장
<횡거관초도(橫渠觀櫵圖)> 푸른잎이 무성한 파초 두 그루 사이로 앉아있는 북송대 학자 장재(張載)
<노재상한취도(老宰相閑趣圖)> 정원에 앉아 한가로이 노후의 삶을 보내는 송나라 재상 사마광(司馬光)
<행단고슬도(杏壇鼓瑟圖)> 살구나무가 심어진 행단에서 공자와 제자들이 글을 읽고 금(琴)을 타는 장면
<부자묘노회도(夫子廟老檜圖)> 부자(夫子, 공자의 존칭) 사당 앞 늙은 전나무의 전경
<함흥본궁송도(咸興本宮松圖)>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어린 시절을 보낸 함흥 고향집의 소나무 전경
<기우출관도(騎牛出關圖)> 노자(老子)가 소를 타고 함곡관의 문을 나섰다가 윤희(尹喜)를 만난 장면
<야수소서(夜授素書)> 유방(劉邦)이 한나라 황제가 되는 데 큰 공을 세운 장량(張良)의 어릴 적 고사의 한 장면
<초당춘수도(草堂春睡圖)> 중국 삼국시대 유비(劉備)가 제갈량을 세 번 찾아간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이야기
<화표주도(華表柱圖)> 안개 낀 고을 한 가운데 우뚝 선 돌기둥 꼭대기에 학이 서있는 광경
<고사선유도(高士船遊圖)> 버드나무 옆 강가 거룻배에 앉아 낚시하는 장면
2022.07.17, 국립고궁박물관_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연(石然) 양기훈(楊基薰)의 <묵란도> (0) | 2022.08.03 |
---|---|
이건희컬렉션, 박종배의 <천국의 계단> (0) | 2022.08.01 |
이건희컬렉션, 전뢰진(田雷鎭)의 <가족> (0) | 2022.07.30 |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통천문암> (0) | 2022.07.29 |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기려도>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