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장시화첩(斜川莊詩畵帖)> _ 그림:이신흠(1570~1631), 글:이호민(1553~1634) 등 34인, 조선 1617~1646년, 그림 : 비단에 종이에 엷은 색, 글 : 종이에 먹, 국립중앙박물관
이호민은 관직에서 물러나 경기도 양평에 있었던 사천장에서 지냈다. 이 서화첩은 사천장의 풍광을 칭송하는 당대 최고 문장가 34명의 시와 당대 최고화가 이신흠의 그림을 합쳐서 꾸민 것이다. 가문의 위세를 그림과 글로 후대에 전하고자 한 의도가 담겨있다.
사천장시화첩 춘권 제2면 사천장팔경도(斜川莊八景島)
사천장((斜川莊) 주변 경관을 그린 그림이다.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일대를 회화식 지도처럼 그리고 지명을 붉은 글씨로 적었다.
사천장시화첩 하권 제7~8면 오언시(五言詩)_조희열(1575~1638), 조선1625년
이경엄은 중국동진시인도잠(365~427)이 지은「유사천(遊斜川) 」을 읽고 자신의 별장과 도잠이 노닌 곳의 지명이 같음을 기뻐하며 지인들에게 시를 부탁했다. 조희일은 시로 이렇게 읊었다. "도연명은 세상을 피해 은둔한 늙은이, 가고 머무는 것을 운명에 맏겼다. · · · 땅은 몇 천리나 떨어져 있지만, 또같이 사천(斜川)이라는 강물이 있다. 관직 생활하면서도 세속의 욕망 잊을 수가 있으니, 구태여 바다갈매기를 가까이할 필요가 있으랴?"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컬렉션, 새천년계회첩 (世年禊會帖) (0) | 2022.08.13 |
---|---|
최북(崔北)의 <괴석도(怪石島) · 석란도(石蘭島)> (0) | 2022.08.12 |
이건희컬렉션, 정광호의 < 나뭇잎> (0) | 2022.08.11 |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의 <십군자도> (0) | 2022.08.11 |
양호처사가도첩(楊湖處士家圖帖)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