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호_평택향교

기리여원 2023. 3. 4. 11:28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호 _ 평택향교 (平澤鄕校)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팽성읍 부용로17번길 40 (객사리)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 교육 기관으로,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 B.C.551년-B.C.479년)와 여러 성현(聖賢)들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향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大成展)과 선현을 모시는 동무ㆍ서무(東廡ㆍ西廡), 학생들의 강학소인 명륜당(明倫堂)과 그들이 기숙하는 동재ㆍ서재(東齋ㆍ西齋)로 구성되어있다. 그 이외에도 재사(齋祠)를 관장하는 전사청 등이 있다.

 

‘평택 향교’는 1413년에 지었고, 1445년에 증설되었다.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1637년에 일어난 조선과 청나라의 싸움)으로 불타 없어졌으나, 1797년 복원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농민학교로 사용되기도 했다. 평택향교는 입구의 홍살문을 지나 외삼문(外三門) 안쪽에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八(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좌우에는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가 있다. 명륜당 뒤편 내삼문(內三問) 안쪽에 위치한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는 장소이다.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평택향교 표지판

 

 

평택향교 표지석

 

 

 평택향교 홍살문

 

 

평택향교

 

평택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제사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오는 전학후묘(前學後廟)로 배치되었다

 

대소인원개하마비(大小人員皆下馬)

 

신분이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이곳을 지나는 자는 모두 말에서 내리십시오

 

명륜교육관(明倫交育館)

 

 

평택향교 외삼문(外三門)

 

 

각 종 기념비 및 공적비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東齋)

 

 

유생들의 기숙사인 서재(西齋) 후면

 

 

동재 · 서재 측면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의 건물구조는  정면 5, 측면 2칸이며 단층 팔작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평택향교 내삼문(內三門)

 

 

평택향교 내삼문(內三門) 후면

 

 

평택향교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5(五聖), 송조2(宋朝二賢), 우리 나라 18(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대성전 위패봉안위(大成殿 位牌奉安位)

 

5성(五聖)

대성지성문선왕 공자(大成至聖文宣王 孔子)

연국복성공 안자(兗國復聖公 顔子, B.C 521~490), 춘추시대 유학자

성국종성공 증자(郕國宗聖公 曾子, B'C 505~436), 춘추시대 유학자

기국술성공 자사(沂國述聖公 子思, B.C 483~402), 전국시대 유학자

추국아성공 맹자(鄒國亞聖公 孟子, B.C 372~289), 전국시대 유학자

 

송조 4현(送朝 四賢)

도국공 주돈이(道國公 周敦頤, 1017~1073), 태극도설 완성

예국공 정   호(豫國公 程    顥, 1032~1085), 기일원론(氣一元論)이론 주창

낙국공 정    이(洛國公 程   頤, 1033~1107), 이기이원론(二氣二元論) 주창

휘국공 주    희(徽國公 朱   熹, 1130~1200), 송대의 유교 집대성

 

해동 18현(海動 十八賢)

홍유후 설    총(弘儒侯  薛   聰,  650~  740), 신라 학자, 유학 발전에 기여.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857~     ?  ), 신라 학자, 정치가

문성공  안   향(文成公 安    珦, 1243~1306), 고려 문신, 유학자, 성리학 도입함.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1337~1392), 고려말 학자, 정치가.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1454~1504), 조선 유학자, 사림파의 영수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1450~1504), 조선 전기 문신, 학자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1482~1519), 조선 유학자, 정치가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1491~1553), 조선 중기 성리학자

문순공  이    황(文純公 李   滉, 1501~1570), 조선 중기 학자.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1510~1560), 조선 중기 문신, 학자

문성공  이    이(文成公 李   珥, 1536~1584), 조선 유학자, 정치가.

문간공  성   혼(文簡公 成    渾, 1535~1598), 조선 중기 성리학자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1548~1631), 조선 중기 학자, 禮學의 선구자

문열공  조   헌(文烈公 趙    憲, 1544~1592), 조선 중기 학자, 의병장

문경공  김   집(文敬公 金    集, 1574~1656), 조선 학자, 김장생의 아들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1607~1689), 조선 후기 문신, 학자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1606~1672), 조선 후기 문신, 학자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菜, 1631~1695), 조선 후기 문신, 학자

 

평택향교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의 건물규모는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단층 맞배지붕집의 목조건축물이다.

 

평택향교  대성전(大成殿) 후면

 

2023.03.01, 택시 팽성읍 객사리, 평택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