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고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왕비전하수제년 전패, 우순풍조만민함락 원패
목조아미타불좌상(木造阿彌陀佛坐像) _ 조선 1695년, 의성 고운사
고운사 극락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주존(主尊)이다. 신유한의 고운사사적비(1729)에는 1695년(숙종 21)에 아미타불상을 봉안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조각승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상의 형식적 특징, 팔각 대좌 내부 천인상의 표현으로 보아 탁밀(卓密) 스님의 영향을 받은 불상으로 추정된다. 소영 신경(昭影神鏡) 스님이 고운사에 주석하던 시기의 상이기 때문에 조각승의 선정 및 불사 전반에 깊이 관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왕비전하수제년 전패(王妃殿下壽齊年 殿牌) _ 조선 후기, 의성 고운사
불전 내 불단 위에 왕과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빌기 위한 삼전패(三殿牌) 중 하나이다. 패두는 왕실을 상징하는 용과 구름무늬를 길게 새기고 금색 · 청색 · 적색 등 화려한 단청으로 마감하였다. 패신은 꽃무늬와 잎사귀문양을 새겼으며, 중앙에는 '왕비전하수제년 전패(王妃殿下壽齊年)' 문구를 넣은 후 금칠로 마무리 하였다.
우순풍조만민함락 원패(雨順風調萬民咸樂 願牌) _ 조선 후기, 의성 고운사
이 패는 방형의 패좌(牌座)에 3엽의 연꽃을 조각하였고, 패두와 패신은 단청으로 채색하였다.
크기가 작고 장엄과 구조면에서 간략화되며, 하나의 나무로 패두와 패신을 제작하고 패좌로 결합하는 형태는 조선 후기 특징을 잘 보여준다.
덧칠된 패액의 붉은 바탕 아래로 '세자저하수만세(世子邸下壽萬歲)'의 명문이 보이는 부분이 있어 본래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동관(金銅冠) (7) | 2023.06.13 |
---|---|
신관도임연회도(新官到任宴會圖) (6) | 2023.06.08 |
예산 대흥의 명소, 망태할아버지 석상 (4) | 2023.04.30 |
이순신 최후 순간 담긴 류성룡의 달력, 류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3) | 2023.04.28 |
봉정사 영산암 십육나한도 (4)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