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51호_강릉입영관삼문(2014.08.03.일요일), 강릉 관아

기리여원 2014. 8. 15. 20:32

       

                    되살아난 천년의 향기    강릉 관아

 

강릉 관아는 고려말에 설치되어 조선말기에 폐지된 강릉 대도호부의 행정관청이 있던 곳이다. 관아는 관서(官署). 관사(官司).관청(官廳) 등으로도 부르며, 지방에 파견된 목민관이 집무를 보던 곳을 가리킨다.

 

지방의 관아는 왕권을 상징하는 객사와 수령의 집무처인 동헌, 지방민을 대표하여 수령을 보좌하는 향청 및 기타 지방 통치에 필요한 건물들로 구성된다.

 

강릉 관아의 구성은 크게 강릉 읍성과 동헝 영역 및 객사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동헌영역인 관아에는 내아(內衙),익랑(翼廊), 향랑(行廊)으로 이루어진 내아와 별당(別堂)., 전랑(前郞), 공수(公須), 관청(官廳)등으로 구성된 외아가 있으며 객사 영역에는 임영관이 위치하고 있었다. 이들 관아 건물은 모두 읍성안에 배치되어 있었다.

 

강릉 관아는 강릉부의 행정 중심 治所로 고려말부터 조선시대까지 수차례에 중수광정을 거쳐 일제 강점기까지 유지되어 왔으나, 일제에 의해 대부분 건물이 소실되어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제51호)과 칠사당(강원도유형문화재 제7호)만 남아 있다가, 2006년 임영관(사적 제388호) 복원에 이어 관아의 아문, 동헌, 의운루 등이 복원되었다.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1962.12.20.지정)

 

일제강정기에 헐린 객사 및 관아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강릉부 객사의 정문이다. 정면3칸, 측면2칸의 주심포계 맞배지붕 건물로 화강석 기단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전면과 배면 열에 배흘림 원기둥을 세우고 열에는 각기둥을 세워 문을 단 구조이다. 원주(圓柱)의 배흘림이 다른 주심포 건물에 비해 가장 아름답고 현저할 뿐 아니라 각종 포의 세련된 의장기술 및 구조는 고려말 주심포계의 건축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현존하는 몇 안되는 고려시대의 건축기법 등을 엿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중요한 건축물이다.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1962.12.20.지정)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1962.12.20.지정)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국보 제51호 江陵 臨瀛館 三門 (1962.12.20.지정)

 

 

 

 

 

 

 

 

 

 

 

 

 

 

 

 

 

 

 

 

 

                                                                        중대청

 

정청인 전대청 앞에 있는 정면3칸, 측면4칸의 맞배지붕이며 고려건축의 양식의 건물이다. 건물의 용도는 알 수 없으나, 관찰사의; 순력등을 위한 장소로 추정된다

 

 

 

 

                                                                                            중대청

 

 

 

 

 

                                                                        서헌(西軒)

 

  정면3칸, 측면 3칸으로 온돌방과 마루로 구성되었으며 정3품 관료가 숙식하던 장소이다


 

 

 

 

 

 

사적 제388호 _ 임영관(臨瀛館)(1994.7.1 지정)

 

 강릉부의 객사건물이다. 객사는 객관 또는 관사라고도 하는데, 고려시대애 들어와 행정조직이 개편되면서 관아시설도 체게화되었다, 유교 통치이념인 조선시대에는 사신의 접대공간뿐 아니라 국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신 가장 중요한 건물로 존속되었다.

 

 객사의 건물관리는 고을 아전들이 감당했는데, 고려시대에는 객사사(客舍使)라는 향직(鄕職)을 두어 관리하도록 했으며, 건물구조는 가운데 정청(正廳)을 두고 그 좌.우에 익사(翼舍)를 두고 있다.

 

 강릉부 읍지인 임영지(臨瀛誌)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태조 19년(936년) 강릉부 객사로 임영관을 창건하였고, 그 후 여러 번 중수되어 왔으나 일제강점기에 강릉공립보통학교 설치로 헐리게 되고 객사의 삼문만 남아 있다가 2006년 중대청, 전대청, 동대헌, 서헌이 복원되었다



 

 

 

 

 

 

사적 제388호 _ 임영관(臨瀛館)(1994.7.1 지정)

 

전대청(殿大廳)

 

 객사(客舍(의 정청(正廳)이자 임영관의 중심공간으로 건물규모는 9칸(정면3칸, 측면3칸)으로 좌.우의 동재칭과 서현에 비해 지붕이 한 단 높게 지어졌으며 왕의 전패(殿牌)를 모셔두고 특별한 날 의례(儀禮)를 행하던 장소이다.

 

                                                                     임영관(臨瀛館)

 

 

                                                                                      임영관 현판

 

임영관 현판은 "기록에 전하기를 1366년 고려 恭愍王의 친피로 글자는 피나무로 만든 4개의 판위에 陽刻으로 새겼다.

 

                                                                                               동대청

 

 

                                                                                   동대청(東大廳)

 

 정면3칸, 측면3칸으로 온돌방과 마루로 구성되었으며 서현보다 위계가 높았음을 알수 있다

 

 

 

 

 

 

 

 

 

 

 

 

 

 

 

 

 

 

 

                                                                                   동대청(東大廳)


 

                                                                                   동대청(東大廳)

 

 

 

 

 

 

 

 

 

 

 

 

 

 

 

 

 

 

 

 

 

 

 

 

 

 

 

 

 

 

 

 

 

 

 

 

 

 

 

 

 

 

 

 

 

 

 

 

 

 

 

 

 

                                                                        의운루(倚雲樓)

 

 

                                                                     의운루(倚雲樓)

 

 

 

 

 

 

 

 

 

 

 

 

 

 

 

 

 

 

 

 

 

 

 

 

 

 

 

 

 

 

 

 

 

 

 

 

 

 

 

 

 

 

 

 

 

 

 

 

 

 

 

 

 

 

 

 

 

 

 

 

 

 

                                                                    중문에서 본 동헌

 

  지방수령이 주재하는 관청의 본 건물로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등을 행하던 곳으로 관아의 행정 업무 중심 건물인 정청(政廳)을 이르는 것이다.

 

  생활공간인 내아(內衙)와 구분되어 보통 동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동헌으로 불리웠으며, 나중에는 동헌이 관아를 지칭하는 말이 되어 외동헌(外東軒), 내동헌(內東軒)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동헌을 동쪽에 배치한 이유는 음양사상으로 동쪽이 양의 기운이 완성한 것에서 연유된다.

 

  또한 지방관을 사또라 부른 것은 사도(使道)에서 유래되었는데, 사도란 심부름을 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왕명을 받아 지방을 통치하는 심부름꿈으로 뜻이 바뀌면서 명칭도 사또로 변했다.

 

  건물의 규모는 장대석 3벌대의 기단위에 정면6칸, 측면2칸이며, 이익공 팔작지붕 양식이다. 동헌은 객사(客舍). 향교와 함께 지방 관아의 핵심 건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 것이었다.

 

 

 

 

 

 

 

 

 

 

 

 

 

 

 

 

 

 

 

 

 

 

 

 

 

 

 

 

 

 

 

 

 

 

 

 

 

 

 

 

 

 

 

 

 

 

 

 

 

 

 

 

 

 

 

                                                                            아문

 

  2011년 천년도시 강릉의 관아가 복원되면서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해마다 음력 4월5일 칠사당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인 강릉단오제의 신주빛기, 강릉의 작가들이 펼치는 예술장터, 미술과 사진전시, 전통다도와 커피체험, 중요무형문화재인 강릉관노가면극과 단오굿, 강릉농악공연 등이 아름다운 관아건물과 어루러지는 강릉의 문화를 맛 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2012년 10월19일부터 28일까지 열흘간 2012 강릉ICCN 세계무형문화축전이 열리는 곳으로 전세계 전통문화의 진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의운루(倚雲樓)

 

  강릉 관아내에 위치했던 정자이다. <입영지>와 <관동읍지>.<중수임영지>등 기록에 의하면 건물규모는 6칸 정도이며, 임영관 남쪽에 있었다 한다. 특히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하는 박시형의 운금루기문(雲錦樓記文)에 의하면 한송정과 경포대를 포함한 의운루, 운금루를 강릉의 절경으로 표현하고 있어, 호수와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경포대와 한송정뿐 아니라 관아내에 인공으로 조성된 연탕을 사이에 두고 건립된 운금루에서 바라보는 경치 또한 으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의운루(倚雲樓)

 

 

                                                                       의운루(倚雲樓)

 

 

                                                                      의운루(倚雲樓)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조선시대의 관청 건물로 호적. 농사. 병무. 교육. 세금. 제판. 풍속의 7가지 정사에 관한 일을 베풀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건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632년(인종01년)과 1726년(영조 2)에 크게 중수하였다. 1866년(고종 3)에 진위병의 영(營)으로 사용되었다.

일정강점기에는 일본의 수비대가 있었고 뒤에 강릉군수의 관사로 쓰이다가 1958년까지 강릉시장 관사로 사용되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조선시대의 관청 건물로 호적. 농사. 병무. 교육. 세금. 제판. 풍속의 7가지 정사에 관한 일을 베풀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건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632년(인종01년)과 1726년(영조 2)에 크게 중수하였다. 1866년(고종 3)에 진위병의 영(營)으로 사용되었다.

 일정강점기에는 일본의 수비대가 있었고 뒤에 강릉군수의 관사로 쓰이다가 1958년까지 강릉시장 관사로 사용되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호 _ 七事堂(1971.12.16지정)

 

 

 

 

 

 

 

 

 

 

 

 

 

 

 

 

 

 

 

 

 

 

 

여기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