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산림청 100대 명산

단풍이 절정인 치악산 (2014.10.20.일요일), 1,288m

기리여원 2014. 10. 20. 19:43

 

                                                                                            치악산 정상

 

                                                                   치악산 (1,288m)

 

                 황골마을입구~황골탐방지원쎈타~입석사~쥐너머재~치악산~세렴폭포~구룡사~구룡사주차장

 

                                    산행일시 : 2014. 10.19.일요일

                                    산행거리 : 10.7km

                                    산행시간 : 07:30~15:10  ( 소요시간7시간 40분, 구룡사 관람시간30분포함)

 

들머리인 황골마을에서 황골지원센타까지는 0.8km임.

 

 

 

 

 

 

 

 

입석사 표지석

 

 

황골 탐방지원센타 입구, 여기서 입서가까지는 아스팔트 포장갈로 0.8km임

 

 

아스팔트 도로를 단풍구경하면서 천천히 올라갑니다.

 

 

 

 

 

 

 

 

 

 

 

원주치악산산악구조대

 

 

 

 

 

단풍이 든 산을 보면서 천천히 산행합니다.

 

 

 

 

 

 

 

 

 

 

 

 

 

 

입석사 대웅전

 

 

입석대 오르면서 바라 본 입석사대웅전

 

 

입석대

 

 

 

 

 

입석사석탑 (立石寺石塔) _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9호

 

입석사에 있는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세워 둔 것인데, 2기의 석탑 부재가 섞여 있는 듯 하다.

부재들은 두툼하고 네모난 연꽃받침이 2개, 얇은 연꽃받침이 1개, 각 면에 기둥 모양을 새긴 탑신(塔身)의 몸돌이 3개, 네모난 판돌이 4개이다.

연꽃무늬 조각이나 탑신의 몸돌을 다듬은 솜씨로 보아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이 왕위에 오른 후 어린 시절의 스승 운곡 원천석을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고 치악산에 들어가 은둔생활을 하며 나타나지 않으니, 그를 생각하며 이 탑을 세우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함께 전해 내려온다

 

                                                                                                                                                              출처 문화재청

 

 

    입석사석탑 (立石寺石塔) _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9호

 

 

 

 

 

 

 

 

                                          석대

 

 

입석대에서 마애불까지는 20m입니다

 

 

마애불 가면서 바라본 입석대의 풍광

 

 

   원주흥양리마애불좌상 (原州興陽里磨崖佛坐像) _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7호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에 있는 입석사의 큰 길로부터 서북 방향으로 30m 떨어진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불상의 얼굴은 매우 도드라지게 새겼으며, 몸체는 낮게 새겨져 있다. 불상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균열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고, 얼굴은 풍만한 모습이며 전체적으로 눈·코·입의 비례가 좋다. 양 어깨에 걸친 옷자락은 다소 두꺼운 편인데, 옷주름은 간략화되어 있다.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고 있고, 왼손은 배 앞부분에 놓고 손바닥을 위로 하고 있다.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데, 무릎 폭이 비교적 넓어 안정감을 준다.

불신의 주변에는 둥근 머리광배와 타원형의 몸광배가 있으며, 연꽃잎이 2중 새겨진 대좌(臺座)가 있다. 대좌 아래 왼쪽에 9자 정도의 글이 새겨져 있는데, 풍화가 심하여 읽기 어려운 상태이다.

불상의 형식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문화재청

 

  원주흥양리마애불좌상 (原州興陽里磨崖佛坐像) _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7호   

 

 

 

 

 

 

 

 

 

 

 

 

 

 

 

 

 

입석사에서 0.6km는 경사가 급하여 깔딱고개라 부른다.

 

 

여기서부터 비로봉 정상까지는 1.9km이나 급하지 않고 펀한 등산로입니다.

단풍이 다 떨어져 겨울을 준비하네요

 

 

 

 

 

 

 

 

 

 

 

 

 

 

 

 

 

 

 

 

 

 

 

 

 

 

 

 

                                                                           치악산정상(1,288m)에서~

 

 

 

 

 

 

 

 

 

 

 

 

 

 

 

 

 

 

 

 

 

 

 

 

 

 

 

 

 

 

 

 

                                                       비로봉에서 바라 본 주능선인 남대봉, 향로봉의 풍광

 

 

 

 

 

 

 

 

황골에서 올라 온 능선로

 

 

 

 

 

 

 

 

 

 

 

 

 

 

 

 

 

자작나무

 

 

 

 

 

 

 

 

 

 

 

 

 

 

 

 

 

 

 

 

 

 

 

 

 

 

 

 

 

 

 

 

 

 

 

 

 

 

 

 

 

 

 

 

 

 

 

 

 

 

 

 

 

 

 

 

 

 

 

다리를 건너 위로 가서 좌회전하면 세렴폭포가 나옵니다.

 

 

세렴폭포

 

 

세렴폭포가 가뭄이라 물이 적습니다.

 

 

 

 

 

 

 

 

 

 

 

 

 

 

젖나무숲길

 

 

 

 

 

 

 

 

구룡사 사천왕문

 

 

구룡사 대웅전

 

 

 

 

 

치악산구룡사 전경

 

 

치악산구룡사 전경

 

 

치악산구룡사 전경

 

 

 

 

 

 

 

 

 

 

 

 

 

 

원통문

 

 

 

 

 

 

 

 

 

 

 

 

 

 

 

 

 

   학곡리황장금표 (鶴谷里黃腸禁標) 표지판 - 강원도 기념물 제30호

 

 

  학곡리황장금표 (鶴谷里黃腸禁標) - 강원도 기념물 제30호

 

 

치악산 내의 구룡사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놓여 있는 것으로, 황장목(黃腸木)의 보호를 위하여 일반인의 벌목을 금지하는 경계의 표시이다.

황장목은 나무의 안쪽색깔이 누렇고 몸이 단단한 질이 좋은 소나무로서 왕실에 올리는 특산물 중의 하나이며, 궁에서 신관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특히 치악산은 질이 좋은 소나무가 많을 뿐 아니라 관아가 가까이 있어 관리도 유리하였고, 한강의 상류에 자리하여 뗏목으로 한양까지의 운송이 편리하여 전국에 있는 60여 개소의 황장목 보호림 가운데에도 이름난 곳의 하나였다.

금표는 작은 바위의 한면을 평평하게 다듬어 ‘황장금표(黃腸禁標)’라는 글귀를 새긴 모습으로, 최근에 ‘금’자와 ‘표’자 사이의 윗부분에 ‘동(東)’자가 새로이 발견되었다. 구룡사 입구에서 100여m 정도 내려가면 도로가의 흙속에 일부가 묻혀 있는 1기의 금표가 더 남아 있는데, ‘금표’의 글귀 윗부분에 ‘외(外)’자가 보인다.

이렇듯 보호림 구역을 만들어 표시를 해놓는 제도는 조선시대 전기부터 생겨난 것으로, 강원도에는 이곳 외에도 인제, 영월, 양양 등에 있다.

  출처 문화재청

 

 

여기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전산행,안전운전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