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772-2호_금강경삼가해 권2,3,4,5

기리여원 2022. 2. 24. 17:14
반응형

물 제772-3호 _ 금강경삼가해 권2, 3, 4, 5 (金剛經三家解 卷二, 三, 四, 五)

 

수   량 : 4권 4책

지정일 : 2002.08.05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조선 성종 13년(1482)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인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중에서 당나라 종밀(宗密)과 종경(宗鏡), 조선초기 승려 기화(己和) 등 3인의 주석을 선별하여 한글로 구결을 붙이고 언해(諺解)한 책이다.

 

세종대부터 왕명으로 언해가 처음 시작되어 성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이 책은 1482년(성종 12)에 금속활자(정축자와 을해자)로 300부가 간행되었다. 책의 크기는 세로 36.7㎝, 가로 24.3㎝이며, 규장각에는 권2부터 권5까지의 4권 4책이 소장되어 있다. 최근에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에서 권1을 발견했는데, 이것을 합하면 5권 5책의 완질본이 된다.

 

이 책은 조선초기 불경 간행이 세종대부터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계승사업으로 연속되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며, 또 한글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서 한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금강경삼가해 권2, 3, 4, 5 표지판

 

 

금강경삼가해 권2, 3, 4, 5 

 

2022.02.24, 서울대학교 규장각_고지도로 본 서울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