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0호 _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 (芙江 保晩亭 및 黔潭書院 廟庭碑)
수량/면적 : 정자 1동, 비 1기/2,746.5㎡
지정일 : 2012.12.31
소 재 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712-3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의 후학들이 그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검담서원의 묘정비와 강학공간으로 이용했던 정자인 보만정이다. 송준길은 조선 효종∼현종 때의 문신으로 예학에 매우 밝았다.
보만정은 원래 현종 10년(1669) 동춘당 송준길이 학문을 연구하며 여생을 마치려고 이곳 검담에 세운 정자이다. 숙종 20년(1694)에 송준길을 기리기 위해 검담서원을 세웠는데, 이 때부터 보만정은 검담서원의 강학공간으로 이용되었다. 고종 8년(1871) 서원이 훼철될 때 함께 없어졌다가 1920년대 초 다시 세워졌다. 보만정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내부에는 방이 있고, 대청마루와 툇마루가 있으며 방의 뒷면에 서고가 있다. 이 서고에는 동춘당 문집 판각(板刻)이 보관되어 있었다.
보만정 앞뜰 가운데에 서 있는 검담서원 묘정비는 받침부분과 몸돌,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영조 42년(1766)에 세워진 것으로 김원행(金元行)이 글을 짓고, 손자의 손자인 송명흠(宋明欽)이 썼다.
보만정은 조선 후기 강학공간으로서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건축적으로는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로 접어드는 과정에서의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묘정비는 검담서원의 내력 및 동춘당 송준길의 일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다.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 표지판
이 표지판에서 우측으로 100m지점에 부강 보만정이 위치해 있습니다.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 전경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 솟을대문
솟을대문
보만정 정면앞에 검담서원 묘정비
검담서원 묘정비
보만정 앞뜰 가운데에 서 있는 검담서원 묘정비는 받침부분과 몸돌,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영조 42년(1766)에 세워진 것으로 김원행(金元行)이 글을 짓고, 손자의 손자인 송명흠(宋明欽)이 썼다.
검담서원 묘정비신
묘정비는 검담서원의 내력 및 동춘당 송준길의 일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다.
검담서원 묘정비 우측면
부강 보만정
보만정은 원래 현종 10년(1669) 동춘당 송준길이 학문을 연구하며 여생을 마치려고 이곳 검담에 세운 정자이다
속종 20년(1694)에 송준길을 기리기 위해 검담서원을 세웠는데, 이 때부터 보만정은 검담서원의 강학공간으로 이용되었다. 고종 8년(1871) 서원이 훼철될 때 함께 없어졌다가 1920년대 초 다시 세워졌다.
보만정(保晩亭) 현판
부강 보만정
보만정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내부에는 방이 있고, 대청마루와 툇마루가 있으며 방의 뒷면에 서고가 있다. 이 서고에는 동춘당 문집 판각(板刻)이 보관되어 있었다.
보만정 좌측면
보만정은 조선 후기 강학공간으로서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건축적으로는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로 접어드는 과정에서의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보만정 좌측면
보만정 후면
후면 및 우측면은 합판으로 막아놓은 상태이며, 내부 바닥, 천정, 벽도 보수가 이루워져야 되겠습니다.
보만정 우측면
세종시 보호수로 지정된 검담서원내에 430년 된 측백나무
2022.03.09. 세종시 부강 보만정 및 검단서원 묘정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6호_장군 덕천군사우 (0) | 2022.03.19 |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1호_행주서원지 (0) | 2022.03.18 |
성종의 친형인 월산대군 이정의 위패를 모신 사당,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9호_월산대군사당, 월산대군 묘 및 신도비 (0) | 2022.03.16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7호_한미산 흥국사 약사전 (0) | 2022.03.15 |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_나성 독락정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