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2055호 _ 진안 수선루 (鎭安 睡仙樓)
수 량 : 1동
지정일 : 2019.12.630
소재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 57
시 대 : 조선시대
「진안 수선루」는 1686년(숙종 12년) 건립되고 1888년(고종 25년)과 1892년(고종 29년) 중수된 정자로, 자연암반으로 형성된 동굴에 위치하여 비정형적인 틈 사이에 건물이 끼워져 있음. 또한 상부로 휜 창방(기둥머리를 좌우로 연결하는 부재)의 사용, 방 내부의 연등천장 구성, 바위 틈새를 적절하게 출입구로 활용한 점, 진입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두움과 밝음의 극적 대비 등은 정형의 건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당시의 시대에 파격적으로 시도되었던 건축 형식을 보여줌.
수선루의 평면형태는 상·하층 모두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규모도 비슷하지만 상하로 연속되는 부분은 중앙의 1칸뿐이며, 하층의 우측 출입 칸 상부공간을 상층의 마루 칸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외부공간을 내부공간화 시킨 것은 특출한 공간구성이라고 할 수 있음.
또한, 수선루는 누정건축으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지형을 이용하여 암굴에 건축하였으며 지붕의 전면은 기와로 하고 후면은 돌너와로 마감하여 지역의 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
진안 수선루 표지판
여기서 우측으로 800m 가면 만날수 있습니다.
진안 수선루 입구
진안 수선루
진안 수선루
진안 수선루
조선 숙종 12년(1686) 연안 송씨 4형제(송진유 · 송명유 · 송철유 · 송서유)가 조상의 덕을 기리고 도의를 연마하기 위해 지은 2층 목조 건축물이다.
진안 수선루
수선루의 평면형태는 상·하층 모두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규모도 비슷하지만 상하로 연속되는 부분은 중앙의 1칸뿐이며, 하층의 우측 출입 칸 상부공간을 상층의 마루 칸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외부공간을 내부공간화 시킨 것은 특출한 공간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진안 수선루
진안 수선루 현판
진안 수선루 출입문
암반위에 세운 기둥
이 기둥사이를 지나 좌측으로 갑니다.
진안 수선루
진안 수선루
진안 수선루 내부
위 아래바닥이 60cm 정도 단 차이가 나고 있는데 이는 암반의 높이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송씨 수선루(宋氏 睡仙樓)라고 쓰인 암각서
진안 수선루 툇마루와 난간
진안 수선루 지붕
진안 수선루
2022.04.22,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진안 수선루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431호_정사신 참석 계회도 일괄 (0) | 2022.05.03 |
---|---|
이건희컬렉션, 보물 제1415호_삼현수간 (0) | 2022.04.30 |
수덕사 대웅전 목조연화대좌 (보물 제1381호) (0) | 2022.04.14 |
보물 제1263호_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0) | 2022.04.14 |
보물 제2139호_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