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431호 _ 정사신 참석 계회도 일괄 (鄭士信 參席 契會圖 一括)
수 량 : 1점 (6첩)
지정일 : 2005.04.1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1580년
정사신 참석 계회도는 선조 때의 문신인 정사신(1558∼1619)이 1583년에서 1587년 사이에 관원으로서 참여했던 계 모임을 그린 6폭의 그림이다. ‘괴원장방계회도’(槐院長房契會圖,1583년경), ‘봉산계회도’(蓬山契會圖,1583년), ‘태상계회도(太常契會圖,1585년), ‘예조낭관계회도’(禮曹郎官契會圖,1586년), ‘형조낭관계회도’(刑曹郎官契會圖,1586년), ‘미원계회도’(薇垣契會圖,1587년)로 구성되어 있는데, 봉산계회도, 태상계회도, 형조낭관계회도는 16세기 전반 안견파의 편파구도 산수의 전통을 토대로 경물들의 분리가 확대된 변화를 보여준다. 괴원장방계회도, 예조낭관계회도는 서호계 야외계회도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미원계회도는 1570년대 경 대두된 관아묘사 계회도의 새로운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이 계회도는 제작연대와 참여자들이 확실하게 밝혀져 있고 1580년대의 화풍을 반영하고 있어서 학술적, 회화사적 가치가 높으며, 동일한 인물이 참여했던 여러 폭의 계회도 일괄이어서 자료적 의미가 매우 크다.
정사신 참석 계회도 일괄 (鄭士信 參席 契會圖)
16세기 문인 관료 정사신(鄭士信, 1558~1619)이 처음 벼슬에 나아간 때부터 4년 동안 여섯 번 참석한 계회(契會, 모임) 그림을 모은 병풍이다. 조선시대에는 과거에 합격한 동기끼리, 같은 관청에서 일하는 동료끼리 시를 짓고 술을 나누는 모임이 성행했고, 모임 장면을 그림으로 그려 나누어 가졌다.
제1폭 괴원장방계회도(槐院長房契會圖, 1583년경)
1582년 과거시험 합격동기 중 승문원 현직 관원들이 1583년경 강가에서 모인 계회
제2폭 봉산계회도(蓬山契會圖, 1583년 )
1583년 정사신이 일본 사신을 호송하기 위해 동래에 체류했을 때 부산에서 열린 모임
제3폭 태상계회도(太常契會圖,,1585년 )
1585년 봉상시의 전현직 관원들이 강가에서 모인 계회
제4폭 예조낭관계회도(禮曹郎官契會圖,1586년)
1586년 예조 관원들이 강가에서 모인 계회
제5폭 형조낭관계회도(刑曹郎官契會圖,1586년)
1586년 형조 관원들이 강가에서 모인 계회
제6폭 미원계회도(薇垣契會圖,1587년)
1587년 대사간 이하 사간원 관원이 경복궁 동쪽 사간원 청사에서 모인 계회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486호_이광사 초상 (0) | 2022.05.09 |
---|---|
보물 제887호_감지금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0) | 2022.05.04 |
이건희컬렉션, 보물 제1415호_삼현수간 (0) | 2022.04.30 |
보물 제2055호_진안 수선루 (0) | 2022.04.23 |
수덕사 대웅전 목조연화대좌 (보물 제1381호) (0) | 2022.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