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이건희컬렉션, 보물 제1415호_삼현수간

기리여원 2022. 4. 30. 09:24

보물  제1415호 _ 삼현수간 (三賢手簡) 


수   량 : 4첩
지정일 : 2004.08.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조선 명종 15∼선조 26년


삼현수간(三賢手簡)은 주로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사이에 왕래한 편지를 후대에 4첩(帖)으로 제작한 것이다. 구봉, 우계, 율곡은 서로 절친한 친구들로서 16세기의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들인데 이들이 주로 이기(理氣)·심성(心性)·사단(四端)·예론(禮論) 등 성리학을 둘러싸고 토론·논의한 편지를 모아 엮어 놓은 이 책은 사상사적(思想史的), 학술사적(學術史的)으로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들의 편지 내용은 구봉집(龜峯集), 우계집(牛溪集), 율곡전서(栗谷全書)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그러한 문집(文集)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도 적지 않다는 사실은(이들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것이 16편, 일부만 실려 있는 것이 15편)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높이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들의 친필 편지들은 그 글씨만으로도 서예사적(書藝史的)으로 중요한 자료가 되며, 특히 구봉의 초서(草書)는 한자도 흐트러짐 없이 정연하여 마치 초서교본(草書敎本)을 대하는 듯 느껴진다. 또한 율곡의 친필 글씨는 현전(現傳)하는 것이 희귀한데, 여기에 율곡이 구봉에게 보낸 편지가 13편이나 실려 있어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삼현수간 (三賢手簡) 

 

좌) 우계 성혼이 구봉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 1580년

    삼현수간첩 형권 제20~21면

 

우) 구봉 송익필이 우계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1580년 7월

    삼현수간첩 형권 제20면

 

삼현수간 (三賢手簡) 

 

좌) 구봉 송익필이 유계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1592년 이후 추정

     삼현수간첩 정권 제40면

 

우) 우계 성혼이 구봉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1589년 가을

    삼현구간첩 정권 제39면

 

삼현수간 (三賢手簡) 

 

좌) 구봉 송익필이 율곡 이이게게 보내는 편지, 1581년 11월 이후

     삼현구간첩 리권 제20면

 

우) 우계 성혼이 구봉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1582년 가을

     삼현수간첩 리권 제19면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느 수집가의 초대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