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용담사 감로도(案東 龍潭寺 甘露圖) _ 조선 1811년 조성, 1984.08.21. 도난
용담사 무량전에 봉안되어 있던 감로도로 1984년 도난과정에서 그림틀을 자라 떼어내면서 훼손되었다. 그림을 오랜 기간 은닉하면서 방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크게 꺾여 있다.
용담사 감로도의 화기에는 가경(架慶) 16년(1811)에 조성한 내용이 남아 있으나 사찰명은 붉은 색으로 칠하여 원 소장처를 알수 없게 하였다. 화기의 아랫부분이 크게 잘려 있어 불화의 조성에 참여한 화승들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양공 퇴운당(良工 退雲堂)'이 적혀 있는 부분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사불산 화파(四佛山 畵派)의 수화승 퇴운 신겸(退雲 信兼)이 이 감로도를 조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용담사 감로도는 하단의 장면마다 방제가 있어 무엇을 하고 있는 모습인지를 전달하고 있다. 한량과 기녀, 연희집단, 애인 등과 같은 인물의 등장에서 조선 후기의 풍속화적 요소를 볼 수 있다. 하단 장면이 확대되고 다양화되는 19세기 감로도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2022.05.22, 불교중앙박물관_돌아온 성보문화재 특별공개전, 환지본처還至本處)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정혜사 목조 관음보살좌상 · 대세지보살좌상 (0) | 2022.05.26 |
---|---|
해남 대흥사 목조 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유 (0) | 2022.05.25 |
완주 위봉사 목조관음보살입상 · 지장보살입상 (0) | 2022.05.24 |
장수 팔성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0) | 2022.05.24 |
쌍월당 대선사 진영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