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청양 정혜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1호_정혜사

기리여원 2023. 9. 27. 06:08

청양 정혜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1호 _ 청양 정혜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2.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1호_정혜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1호 _ 정혜사 (定慧寺)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장평면 상지길 165-10 (화산리)

 

칠갑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절로, 신라 문성왕 3년(841)에 혜조국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이후, 517년경 전각이 모두 불타고 삼존불상만 화를 면했다. 16년 후 마곡사의 인명선사가 다시 짓고 여러 차례 보수·중건하였다. 1907년 큰 화재로 소실되었는데, 1908년 월파스님이 다시 지었다.

 

현재 절 안에는 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과 산신각, 석굴암, 중암, 서암 등 암자가 있다. 정혜사의 현판은 3·1운동의 33인 중 한 분인 오세창 선생이 직접 쓴 것이다.

 

 정혜사 (定慧寺) 전경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370년인 소나무

 

정헤사 입구에 소나무의 자태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정혜사 구법당

 

 

정혜사 구법당 '정혜사' 편액

 

이 편액은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전서(篆書)체 글씨임.

 

구법당 우측면

 

 

구법당 좌측면

 

 

구법당 좌우측면

 

 

구법당에 위치한 향나무와 배롱나무

 

 

대웅전 앞 우물

 

이 우물은 백제 성왕(聖王)이 마셨다는 전설이 전하며 최근까지 '은산별신굿'을 할 때 이 우물물을 떠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정혜사 대웅전

 

정헤사는 841년(신라 문성왕 3)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알려진 사찰이다.

정혜사는 조선시대에 송월선사(松月禪師)가 다시 세운 이래로 수차례 고쳐 지었으나 1907년(순종 원년)에 큰불이 나서 모두 타는 바람에 그 이듬해 월파(月波) 스님이 다시 지었다. 이 절에는 오세창(吳世昌)선생이 전서(篆書)로 쓴 '정혜사'라는 편액(扁額)이 걸려 있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 관음전, 칠성각, 구법당, 요사체가 있는데, 구법당은 조선시대 지어진 건물로 1984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대웅전에는 조선시대에 만들러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이 모셔져 있는데, 2018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1호로 지정되었다. 대웅전 앞에는 우물이 있는데, 백제 성왕(聖王)이 마셨다는 전설이 전하며 최근까지 '은산별신굿'을 할 때 이 우물물을 떠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관음전 뒤쪽으로는 송월당탑(松月堂塔)과 송월당비( 松月堂碑)가 있다

 

정혜사 대웅전 좌우측면

 

건물규모는 정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다포식 양식의 목조건축물이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1호 _ 청양 정혜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정혜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중앙에 석가여래을 두고 좌우에 아미타여래과 약사여래를 배치한 삼세불의 형식이다.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금을 입힌 목조불상으로 현재 파손된 부분이 거의 없어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삼세불상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유래과정이나 조성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정혜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상은 얼굴표현이나 신체비례, 착의법 등에서 예산 수덕사 대웅전 삼세불(보물 제1381호)을 비롯하여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삼세불, 논산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보물 제1851호),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삼세불(충남 유형문화재 제 185호), 공주 동학사 대웅전 삼세불(보물 제1719호) 등 17세기 충청남도에서 조성된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상체가 크고 다리가 빈약하게 처리된 점이나 얼굴이 장방형이면서 양 볼이 불룩한 점, 석가불상의 왼쪽 어깨에서 팔을 따라 오른쪽 팔꿈치로 이어지는 옷주름 표현 등은 조각승 법령이 1629년에 조성한 군산 은적사 목조석가삼존불상과도 매우 유사하다. 이에 정혜사 목조삼세불상은 전체 형태와 특징 등에서 17세기의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법령스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17세기 전반에 형성된 법령의 불상양식은 17세기 후반에 전라북도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불상양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정혜사 칠성각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정혜사 칠성각

 

 

정혜사 관음전

 

 

정혜사 관음전

 

 

관음전 관세음보살상

 

 

부도 2기와 1기의 비석

 

송월당탑(松月堂塔)과 송월당비( 松月堂碑)

 

2023.09.25.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 정혜사

글 문화재청 및 안내표지판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