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인동> _ 지삼(知三) 김아영(金雅映, 1953 ~ ) , 1978, 종이에 먹, 색, 91×62.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동양화를 공부하던 지삼(知三) 김아영(金雅映, 1953 ~ ), 강남미, 최윤정은 1977년부터 두 해에 걸쳐 《3인행(三人行) 》전시를 열었다. 이들의 작품은 그간의 동양화와 내용 면에서 매우 달라 당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조선시대 전통 회화나 근대기 일본에서 유입된 신남화풍의 그림과는 결이 다르게, 주로 현실에서 마주한 풍경을 먹과 맑은 채색으로 그려 내었기 때문이다. 당시 『논어 』에서 따온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로 전시회의 이름을 짓고 전시 전반을 주도한 작가가 김아영이다.
김아영의 <옥인동>은 《三人行》에 출품되었던 풍경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당시 옥인동에는 인왕산 자락 아래 언덕배기에 오래된 한옥과 허름한 집이 혼재되어 있었다. 김아영은 언덕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큰길 위아래의 시점을 달리하여 아래로는 기와를 덮은 한옥을 부감하여 그리고, 위로는 무질서하게 새로 지어진 가옥들을 소략한 필치로 그렸다.
<옥인동> _ 지삼(知三) 김아영(金雅映, 1953 ~ )
2025.02.01,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_수묵별미 : 한 · 중 근현대 회화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향(雨鄕) 박래현(朴崍賢)의 <노점> (1) | 2025.02.03 |
---|---|
현초(玄艸) 이유태(李惟台)의 <인물일대 : 탐구> (0) | 2025.02.03 |
이건희컬렉션, 소정(小亭) 변관식(卞寬植)의 <금강산 구룡폭> (1) | 2025.02.02 |
이진주(李珍珠)의 <볼 수 있는 21> (0) | 2025.02.02 |
이건희컬렉션, 관재(寬齋) 이도영 (李道榮)의 <기명절지도> (11)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