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5/18 4

<서산대사 가사>

_ 1594~1904년, 비단, 화엄사 박물관 이 가사는 4장 1단의 25조의 대가사이며 홑옷입니다. 붉은색 비단에 포도다람쥐 무늬를 짜고, 은실을 사용해서 백개 무늬와 등롱무늬를 표현했습니다. 백개는 마치 우산처럼 부처의 말씀으로 중생을 덮어주고, 등롱은 온 세상에 기쁨을 알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일월광첩과 사천왕첩의 자리에는 수를 놓지 않은 푸른색 천으로 장식했습니다. 일월광첩 주변에 촛농 자국이 남아 있어 실제 의식에서 착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뒷면에는 묘향산 인근의 청룡사에서 비구 환우가 제작했다는 묵서가 적혀 있습니다. 이 내용은 1594년 서산대사가 승병장을 사명대사에게 물려주고 묘향산으로 돌아갔다는 행적과 일치합니다. 2025.05.17, 서울공예박물관_실로 새겨 부처에 이르다글 ..

이건희컬렉션, 이성자(李聖子)의 <천년의 고가(古家)>

_ 이성자(李聖子, 1918~2009, 전남 광양), 1961, 캔버스에 유화 물감, 196×129.5cm,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일무(一無) 이성자는 여성성과 모성, 대지에 생명력과 우주를 주제로 작업한,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 추상미술 작가이다. 도쿄 짓센여자대학(實踐女子大學)을 졸업하고, 1951년 파리로 건너가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본격적으로 미술을 배웠으며, 여기에서 앙리 괴츠(1909~1989)의 영향으로 구상에서 추상으로 전향하였다. 초기에는 서정적 추상회화를 시도했으며, 이후 기하학적 구성과 기호적 형태를 강조하는 작업으로 발전하였다. 1960년대에는 고국에 두고 온 아이들을 생각하며 연작을 발표했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 , 연작 등 확장된 세계관을 제시했다. 그의 작품..

국가민속문화재 제244호_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44호 _ 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仙巖寺 所藏 袈裟·卓衣), 삼보명 자수 가사 수 량 : 일괄 3점지정일 : 2003.12.23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 성보박물관 (죽학리)시 대 : 가사18세기이후,탁의16∼17세기 선암사에 소장되어 있는 가사와 탁의로, 삼보명자수가사(三寶名刺繡袈裟)·쌍룡문직은가사(雙龍紋織銀袈裟)의 가사 2점과 용문자수탁의(龍紋刺繡卓衣)의 탁의 1점이다.대각국사 의천이 국왕에게 하사 받은 것으로 전하는 ‘삼보명자수가사’는 다홍색의 무늬가 없는 바탕천을 사용한 것으로 윗면과 측면에 3쌍의 가사 끈이 달려있다. 가사의 네 모서리에는 ‘천(天)’, ‘왕(王)’자를 수놓고, 가운데 부분에는 해와 달을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와 절구 찧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