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고문서 18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訓蒙字會)>

표지판 _ 최세진(崔世珍), 1613년(광해군 5), 3권 1책, 목판본, 39.9×24.8cm 조선전기 어문학자 최세진(崔世珍, 1468~1542)이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을 위하여 지은 교재이다. 당시 널리 사용되던 『천자문(千字文) 』과 『유합(類合) 』에는 추상적인 한자가 많음을 비판하고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는 한자 3,600자를 수록한다고 밝혔다. 본문에 수록된 풍부한 어휘와 한자음은 물론이고, 권두(券頭)의 범례에 나오는 한글에 대한 간단한 해설은 국어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 범례의 '언문자모(諺文字母)'는 훈민정음의 자모 체계에서 '-ㅇ'이 빠진 초성 16자, 중성 11자의 체계를 보이며, 각각의 음가와 용례도 소개하고 잇다. 'ㄱ 其役', 'ㄴ 尼隱' 등이 그 예인데, 이는 후대에 각 ..

문화재/고문서 2023.02.17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_ 유근(柳根) 등 찬(撰), 1617년(광해군 9), 18권 18책, 목판본, 37.8×25.4cm 광해군(光海君)의 명에 의해 설치된 찬집청(撰集廳)에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와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의 속편으로 편찬한 유교 교화서로, 우리나라의 역대 효자 · 충신 · 열녀 1,500명 이상의 사례를 모아두었다. 1612년(광해군 4)에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순절한 사람들에게 대대적인 정문(旌門) 포상이 내려진 것을 계기로 편찬이 시작되었다. 전면에 그림을 배치하고 간략한 전기(傳記)를 한문과 언해로 달았다. 충신편에 수록된 『순신역전(舜臣力戰) 』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戰死)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2023.02.08, 서울대학..

문화재/고문서 2023.02.16

기해척사윤흠(己亥斥邪綸音)

기해척사윤음(己亥斥邪綸音) _ 1839년,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척사윤음은 천주교를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천주교 탄압의 이유를 적극적으로 알리려는 목적으로 작성했다. "천주교에서 하늘을 섬기는 방식은 하늘을 업신여기고 모독하는 행위"라고 적었다. 기해척사윤음(己亥斥邪綸音) 표지판 기해척사윤음(己亥斥邪綸音) _ 1839년,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2021.04.14.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1.04.16

주역언해(周易諺解) 권5~9

주역언해(周易諺解) 계사해(繫辭觧)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주역』에 한글로 토를 달고 우리말로 직역한 책. 9권 6책. 목판본. 선조 때 교정청(校正廳)에서 언해한 책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교정청의 삼경언해는 간행되지 못하고 임진왜란 이후에 비로소 간행되었기 때문이다. 초간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에 있는데, ‘만력삼십사년유월일(萬曆三十四年六月日)’의 내사기가 있어서 1606년(선조 39)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원문을 앞에 싣고 뒤에 언해를 붙였는데, 원문에는 한글토와 한자음이 있고 언해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이 표기되어 있다. 다른 사서삼경의 언해와 마찬가지로 『주역언해』도 이본이 많다. 세경오중춘개간전주하경룡장판(歲庚午仲春開刊全州河慶龍藏..

문화재/고문서 2020.10.16

서전대전(書傳大戰) 권1

서전대전(書傳大傳) _ 목판본, 30.8×21.3cm, 청허 소장 송나라 주희의 제자 채침(蔡沈)이《서경(書經)》에 주해를 단 책. 《서경(書經)》은 오경(五經) 중의 하나로 옛날에는 라 했고, 한대(漢代)에는 상서(尙書)라 하였으며, 송 대(宋代)에 와서《서경》이라 부르게 되었다.《서경》은 유교에서 가장 이상적인 제왕으로 숭상하는 요(堯)ㆍ순(舜) 2제와 우(禹)ㆍ탕(湯)ㆍ문무(文王ㆍ武王) 3왕 시대에 관한 기록으로 사관에 의하여 작성된 것이며, 정치상황과 천문ㆍ지리ㆍ윤리ㆍ민생문제 등 광범위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채침은 서집전서(書集傳序)에서 “요임금, 순임금, 하나라 우임금, 은나라 탕왕, 주나라 문왕과 무왕의 커다란 경륜과 커다란 법이 모두《서경》속에 다 실려 있다”고 하였다.《서경》은 유교의 모..

문화재/고문서 2020.10.12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_ 목판본, 195×288cm, 청허소장 신편휘어(新編彙語)는 59권 25책으로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김진(金搢) 지었다. 중국의 옥해(玉海) 등을 모방하여 여러 문헌에서 긴요한 문자를 뽑아서 부문별로 나누어 수록하고 주석을 붙인 유서(類書)이다.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_ 목판본, 195×288cm, 청허소장 卷之 26∼28은 臣道門으로 事君, 擇君, 賢材, 出處 등 臣道에 관한 항목이다.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_ 목판본, 195×288cm, 청허소장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_ 목판본, 195×288cm, 청허소장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_ 목판본, 195×288cm, 청허소장 소장자 :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문화재/고문서 2020.10.02

논어언해 권3(論語諺解 卷3)

논어언해 권3(論語諺解 卷3)_ 23.0×35cm 논어언해 권3(論語諺解 卷3)_ 23.0×35cm 논어언해(論語諺解) 4권 4책. 활자본. 선조의 명에 따라 교정청(校正廳)에서 행한 사서삼경의 언해사업으로 『대학언해』·『중용언해』·『맹자언해』·『소학언해』 등과 함께 간행되었다. 위 언해본과 함께 원간본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는 편찬과 간행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함께 간행된 『소학언해』의 범례와 발문(跋文) 및 관여관원열함(關與官員列銜), 그리고 『논어언해』의 ‘만력십팔년칠월일(萬曆十八年七月日)’이라는 내사기(內賜記)로 보아 이산해(李山海)·정철(鄭澈) 등 당대의 대표적 유신들 31인이 참여해 1590년(선조 23)에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문인 한문을 앞에 싣고 뒤에 언해를..

문화재/고문서 2020.08.18

사례편람(四禮便覽) 권3~4

사례편람( 四禮便覽) 권3~4 중 권4 _ 20.0×30.5cm. 청허(淸虛) 소장 사례편람( 四禮便覽) _ 8권 4책. 목판본. 이재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김창협(金昌協)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맥을 이어오면서도 그 나름의 학통을 수립한 대학자로서, 성리학과 예학에서 유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옥당(玉堂:弘文館의 다른 이름)의 영수격으로 지체 또한 높았다. 당색은 노론(老論)이었으나 학풍에서는 당색을 초월하기도 하였다. 이 ≪사례편람≫은 그의 예학에 관한 깊은 조예를 토대로 편술된 것인데, 당시 거의 맹목적으로 시행하던 주자의 ≪가례≫의 허점을 보완하면서 이를 현실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요령있게 엮은 것이다. 사실 ≪가례≫는 원칙만의 편술이기 때문에 그 행용에 있..

문화재/고문서 202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