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언해(周易諺解) 계사해(繫辭觧)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주역』에 한글로 토를 달고 우리말로 직역한 책.
9권 6책. 목판본. 선조 때 교정청(校正廳)에서 언해한 책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교정청의 삼경언해는 간행되지 못하고 임진왜란 이후에 비로소 간행되었기 때문이다.
초간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에 있는데, ‘만력삼십사년유월일(萬曆三十四年六月日)’의 내사기가 있어서 1606년(선조 39)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원문을 앞에 싣고 뒤에 언해를 붙였는데, 원문에는 한글토와 한자음이 있고 언해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이 표기되어 있다. 다른 사서삼경의 언해와 마찬가지로 『주역언해』도 이본이 많다.
세경오중춘개간전주하경룡장판(歲庚午仲春開刊全州河慶龍藏板)·경진신간내각장판(庚辰新刊內閣藏板)·병술신간영영장판(丙戌新刊嶺營藏板)·경인신간영영장판(庚寅新刊嶺營藏板)·임술계춘영영중간(壬戌季春嶺營重刊)·무인신간영영장판(戊寅新刊嶺營藏板)·을축칠월일영변부개간(乙丑七月日寧邊府開刊) 등의 간기를 가진 것들이 있다.
모두 목판본인데 위로부터 1810년(순조 10)·1820년·1826년·1830년·1862년(철종 13)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나 무인본(戊寅本)과 을축본(乙丑本)은 간행연도를 알 수 없다. 그 밖에 1695년(숙종 21)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무신자활자본(戊申字活字本)이 있다.
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주역언해(周易諺解) 권5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권6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권7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권8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권9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권9 終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주역언해(周易諺解) 계사해(繫辭觧) _ 목판본, 23.0×35.0cm, 청허소장,
소장자 ;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고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2) | 2023.02.16 |
---|---|
기해척사윤흠(己亥斥邪綸音) (0) | 2021.04.16 |
서전대전(書傳大戰) 권1 (1) | 2020.10.12 |
신편휘어(新編彙語) 권26~28 (0) | 2020.10.02 |
논어언해 권3(論語諺解 卷3) (0) | 202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