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12 6

이철량(李喆良)의 <도시 새벽>

_ 이철량(李喆良, 1952~     ), 1986, 종이에 먹,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철량(李喆良, 1952~     )은 1980년대 초반에 일어난 현대 수묵화 운동의 주요 멤버였으며, 이후 전통 매체인 지필묵을 사용한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에 천착해 왔다.  ,도시 새벽>은 도시의 빌딩 숲과 아파트가 자연의 나무숲과 산봉우리를 대신하고 있는 현대의 풍경을 동시대 수묵의 조형 어법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이 시기에 이철량은 지필묵 매체와 수묵의 방식으로 동시대 감각에 맞는 내용을 담아내려 했으며, 이를 위해 필묵에 대한 이해와 기술의 습득을 강조하였다. 1990년대를 지나며 이철량은 창조의  원동력이자 자연의 본질인 생명 의식을 주제로 삼았고, 그것이 내재된 꽃과 풀, 동물과 인간, 그리고 이들이 속한..

겨울 왕국, 해드린청허하우스

겨울왕국, 해드린청허하우스 설경 해드린청허하우스 설경  해드린청허하우스 설경   해드린청허하우스 해드린청허하우스에서 바라본 예당저수지와 차령산맥 오늘은 날씨가 흐려서 조망이 좋지 않습니다. 또한 일출도 보지 못했습니다. 눈꽃으로 덮은 70년 된 능수단풍    지금 막 제설작업을 한 진입로 여기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2.12, 해드린청허하우스'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예산 상중리 배맨나무 설경

보호수 제8-68호 _ 예산 상중리 배맨나무(느티나무) 소재지 :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338번지지정일 : 1982.10.15목신제로 치성을 받는 마을의 수호신 느티나무높이는 약 19m,  둘레는 7.5m나 되는 고목으로 마을에서는 매우 신성시하여 2월 초하룻날과 칠석날 두레먹이를 하면서 고사를 지내 오고 있습니다.봄철에 나뭇잎이 피는 것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말하자면 모내기의 지표가 되었던 나무이기도 합니다.어르신들 사이에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소정방이 이끄는 나당연합군이 백제 부흥군의 마지막 거점인 임존성을 공격하러 왔을 때 이 나무에 배를 맸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느티나무 밑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는데, 샘을 파면 곳곳에서 시커먼 갯벌의 흙과 짠물이 섞여 나왔..

문화재/보호수 2025.02.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