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원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 사적 제170호_안동 도산서원

기리여원 2018. 6. 7. 09:20

  안동 도산서원 (安東 陶山書院 )이 보유한 문화재   

 

 1. 보물 제210호 _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2.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3. 사적 제170호 _  안동 도산서원 (安東 陶山書院 )    

 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_ 시사단(試士壇)

 

사적 제170호 _  안동 도산서원 (安東 陶山書院 )    

 

지정일 : 1969.05.28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시   대 : 조선시대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전력하였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도산서원은 조선 선조 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보물 제211호)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보물 제210호)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으며, 선조 8년(1575) 국왕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면서 영남지방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서원의 건축물들은 민간인들의 집처럼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산서원(陶山書院) 표지판

 

퇴계 이황선생은 연산군 7년(1501) 현재의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출생하여 선조3년(1570)에 돌아가셨다.

34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단양군수, 풍기군수, 공조판서, 우찬성, 대제학을 지냈으며 사후에 영의정으로 추중되었다.

70여회나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연구, 인격도야, 후진양성에 힘써 이 나라 교육 및 사상의 큰 줄기를 이루었고 만대의 정신적 사표(師表)가 되었다.

선생은 명종 16년(1561)에 도산서당을 세웠고 사후4년 만인 선조7년(1574)에 문인과 유림이 서원을 세웠으며 선조 임금은 한석봉 친필인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현판을 사액(賜額)하였다. 1970년에 정부에서는 서원을 보수 정화하여 성역화하였다.

주요 저서로 계몽전의, 성학십도, 도산십이곡, 주자서절요, 심경후론, 예안향약, 자성록 등이 있다

 

 

 

 

 

 

 

 

 

 

                                                                                   사적 제170호 _   도산서원(陶山書院) 안내도

 

 

 

 

 

 

지금부터 도산서원이 시작됩니다.  단풍이 들면 더욱 아름답겠네요

 

 

유유히 흐르고 있는 안동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_ 시사단(試士壇)

 

지정일 : 1973.08.31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556번지  

 

조선시대 영남지방의 과거시험 장소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정조(재위 1776∼1800)는 이황의 학덕과 유업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조판서 이만수에게 도산별과를 새로 만들어 지방의 인재를 선발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거시험을 기념하기 위해 정조 20년(1796)에 영의정 채제공의 글로 비문을 새기고 시사단을 세웠다. 그 뒤 순조 24년(1824)에 고쳐 세우고, 1974년 안동댐 건설로 현 위치에서 지상 10m의 축대를 쌓아 그 위로 비각과 비를 옮겨지었다.

비각은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이고,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이다. 기둥 사이 벽 가운데를 가로질러 댄 나무인 중방 아래에는 비바람을 막기 위해 판벽을 둘렀고, 추녀 4곳에 얇은 기둥을 받쳐 건물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시사단(試士壇) 표지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_ 시사단(試士壇)

 

조선시대 영남지방의 과거시험 장소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_ 시사단(試士壇)

 

 

 

 

 

 

 

 

 

 

 

                                                                                                              열정

 

 

 

 

 

 

 

 

 

 

 

 

 

 

 

 

 

 

 

 

 

 

 

 

 

 

 

                                                                                 정우당(淨友塘)

 

 

 

 

 

 

도산서당(陶山書堂)

 

퇴계선생께서 4년에 걸쳐 지으신 건물로 몸소 거처하시면서 제자를 가르치던 곳이다. 거처하시던 방은 "완락재(玩樂齎)"라 하고 마루는 "암서헌(巖栖軒)"이라 하였다.

 

 

                                                                                           도산서당(陶山書堂) 편액 _ 복제품

 

진품은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됨.

도산서당(陶山書堂) 편액 _ 60.2×31.0cm/예서/ 기탁 : 도산서원 운영위원회

 

퇴계가 강학했던 서당의 현판이다, 도산서당은 퇴계가 직접 설계하고, 설계도인 <옥사도자(屋舍圖子)>를 직접 그렸다고 한다. 도산서당은 부엌, 온돌방, 마루 등 3칸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3칸 구성은 전통 주택의 최소 규모인데, 외형의 크기를 중시하지 않았던 퇴계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다. 퇴계는 1560년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야호를 '도옹(陶翁)'이라 정하고, 7년간 이곳에 기거하면서 독서.수양.저술에 전념하는 한편, 많은 문인을 훈도하였다.

 

 

 

                                                                                도산서당(陶山書堂)

 

 

 

                                                                                                       완락재(玩樂齋)

 

 

 

                                                                                  암서헌(巖栖軒)

 

 

 

                                                                                   광명실(光明室)

 

 

 

 

 

 

 

                                                                                   광명실(光明室)

 

 

 

                                                                                   광명실(光明室)

 

 

 

                                                                                    진도문(進道門)

 

 

유생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던 동편건물인 박약재(博約齋)

 

 

 

 

 

 

유생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던 서편건물인 홍의재(弘毅齋)

 

 

 

 

 

 

 

 

 

 

 

보물 제210호 _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安東 陶山書院 典敎堂)                                

 

지정일 : 1963.01.2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서원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그 중 전교당은 유생들의 자기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는 강당으로서, 전교당의 앞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하고 있다.

이 전교당은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은 것을 1969년에 보수한 것이며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보았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화려한 팔작지붕이고 온돌방과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매우 간소하게 지은 건물로 선조가 서원에 내려준 ‘도산서원’이라는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이 임금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한다.

 

 

 

 

 

 

 

 

 

보물 제210호 _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安東 陶山書院 典敎堂)   

 

서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조선선조7년(1574)에 건립된 대강당이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사액편액이 게시되어 있으며 스승과 제자가 함께 모여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다

 

 

                                                                                          도산서원 (陶山書院 ) 편액 _ 복제품                              

 

 

도산서원(陶山書院) 편액 _ 59.0×205.0cm/해서/기탁 : 도산서원 운영위원회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서원의 현판이다.  1574년에 서원이 지어졌고, 1575년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도산서원은 퇴계가 생전에 진리를 강론하던 도산서당이 후학들의 열의로 서원으로 승격된 것이다. 퇴계의 많은 제자들이 이곳에서 수학하였다는 점에서 여타 서원과는 차별성이 잇으며 퇴계학파의 학문 형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글씨는 선조의 명에 의해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기 썼으며, "만력 3년(1575) 6월0일에 사액한다."라고 부기되어 있다

 

 

 

 

 

 

                                                                     도산서원 전교당(典敎堂) 편액

 

 

 

 

 

 

 

                                                                                                       장판각(藏板閣)

 

서원에서 찍어낸 첵의 목판본을 보관하던 장소이다. 선조어필 퇴계 선생 문집, 유묵, 언행록, 병서, 도산십이곡 등의 목판2,790장이 보관되었다가 2003년 5월에 한국국학진흥원으로 이관되었다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지정일 : 1963.01.2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서원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이황 선생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문신으로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평생을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쓴 분이다.

도산서원 제일 뒤쪽에 있는 상덕사는 이황 선생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었고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수리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상덕사를 드나드는 정문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문은 상덕사를 지을 때 같이 지은 것으로 앞면 기둥은 계단 높낮이때문에 다른 기둥보다 길이가 길다. 정문 양옆으로 사당 주위를 둘렀던 토담은 1969년 보수공사 때 돌담장으로 모두 바꾸었다.

간결하고 매우 검소하게 지은 전통 깊은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보물 제211호 _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전사청(典祀廳)

 

상덕사에서 향사를 지낼 때 제수(祭需)를 마련하여 두는 곳이다. 제수청과 주고(酒庫)가 있다

 

 

 

 

 

 

                                                                                   전사청(典祀廳)

 

 

 

 

 

 

                                                                                       고직사

 

 

 

 

 

 

 

 

 

 

 

 

 

 

 

 

 

 

 

 

 

 

 

 

 

 

 

 

 

 

 

 

 

 

 

                                                                             

농운정사(隴雲精舍)

 

 

 

 

 

 

 

 

                                                                          농운정사(隴雲精舍) _ 복제품

 

 

 

 농운정사(隴雲精舍) _ 이황 글씨, 60.2×31.0cm/해서/ 기탁 : 도산서원 운영위원회

 

도산서당의 서쪽  기숙사에 걸려 있는 현판이다. 제자들이 자율적으로 심학공부에 전념하기를 바라던 퇴계의 정신을 반영하여 '공(工)'자형으로 건축했다고 한다. '농운(농雲)의 원뜻은 언덕 위의 구름이지만 일반적으로 '언덕'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양나라 때의 은인(隱人)이었던 도홍경(陶弘景)이 지은 시에서 '은자의 처소'라는 뜻으로 쓰인 "언덕 위에 흰 구름이 많네. <농上多白雲>"에서 따온 말이다. 청렴한 선비가 되리는 교훈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농운정사(隴雲精舍)

 

 

 

                                                                                농운정사(隴雲精舍)

 

 

 

                                                                                

농운정사(隴雲精舍)

 

 

 

 

 

 

 

 

                                                                              역락서재(亦樂書齋)

 

 

 

 

 

 

 

 

 

 

 

 

 

 

 

 

 

 

 

 

 

 

 

                                                                                천연대(天淵臺)

 

 

 

 

 

 

 

 

 

 

 

                                                                     천연대(天淵臺)에서 바라 본 안동호

 

 

 

 

 

 

 

 

 

 

 

                                                                                석간대(石澗臺)

 

 

 

 

 

 

 

 

 

 

 

                                                                                석간대(石澗臺)

 

 

 

안동호를 건너 시사단으로 가는 길

2014.09.09.화요일, 안동 도산서원

글 문화재청,  한국국학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