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_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수 량 : 1동
지정일 : 1974.09.24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입면 삼오궁동길 101-6 (삼오리)
이곳은 정묘호란 때 의병장이었던 박언배와 그 부인 이씨의 높은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각이다. 박언배는 옥과의 사족으로 박연( 朴堧 )의 후손이다. 조선 인조5년(1627) 청나라 군사가 내습하자 의병장으로 안주( 安州 ) 싸움에 참가하여 전사하였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부인 이씨도 또한 뒤따라 목숨을 끊었다. 충렬문은 순조5년(1805)에 건립한 것이다.
곡성 충렬문은 정묘호란 때 의병장이었던 박언배와 그 부인 완산 이씨의 충(忠)과 열(烈)을 기념하고자 세운 정려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_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_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_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정려각(旌閭閣)
앞면 3칸, 옆면 1칸의 팔작지붕집이며, 다듬어진 원형의 초석위에 원주를 세우고 다포가구법을 갖춘 전형적인 정려양식이다. 사면 주위로는 홍살을 돌렸다
정려(旌閭)
곡성 충렬문은 정묘호란 때 의병장이었던 박언배와 그 부인 완산 이씨의 충(忠)과 열(烈)을 기념하고자 세운 정려이다
박언배는 박연(朴堧)의 5대손으로 곡성 삼오리(궁동)에서 출생하였다. 1626년(인조 4)에 무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여 황주에서 전공을 크게 세운 뒤 안주싸움에서 순절하였다. 그의 시신을 장사지내는 날에 그의 부인(완산이씨)은 자결하였다. 이러한 충(忠)과 열(烈)이 알려져 1805년에 증직, 명정을 받게된 것이다.
경앙문(景仰門)
소나무 두그루가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1959년에 세워 박연을 배향하는 오봉사(梧峰祠)
오봉사(梧峰祠)
막 피기 시작한 자목련
숭란재(崇蘭齋)
숭란재(崇蘭齋) 현판
곡성 충렬문 (谷城 忠烈門) 전경
글 문화재청,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형문화재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5호_흥국사 원통전 (0) | 2020.05.02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2호_여수 흥국사 중수사적비 (0) | 2020.04.30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9호_곡성 수도암 목조 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2020.03.25) (0) | 2020.03.28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1호-곡성도림사보광전아미타삼존불상(2020.03.25) (0) | 2020.03.28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_구례 향교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