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강원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7호_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기리여원 2021. 8. 8. 08:58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_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雲水庵 觀音變湘幀畵)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정조(1790)

 

관음 33응신의 한 장면을 그린 관음변상도로, 선재동자의 방문을 받고 그에게 수기를 주는 관음보살의 모습을 그린 간단한 도상이지만, 조선시대 후기의 불화 중에서 이처럼 관음 자신의 몸을 변화한 응신장면을 그린 예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며, 검은 색의 비단 위에 금니로 그린 선묘화로서 필선이 유려하여 작품성이 뛰어나며, 화기가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1790년)와 화원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보존가치가 크다.

 

이 그림은 검은 색의 비단(絹) 위에 금니(金泥)를 이용해 그린 것이다. 그림 좌측의 하단에 있는 화기(畵記)에 의하면 1790年(정조 14)에 화원(畵員) 신겸(信謙)이 그려 운수암(雲水菴)에 봉안했던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운수암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력을 알 수 없다. 다만 화승(畵僧) 신겸(信謙)의 활동무대로 볼 때 삼척지역을 포함한 강원 남부지역 또는 경북 북부지역에 소재했던 암자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오랜기간동안 월정사에서 전래되어 왔다고 하나 보관된 경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으며, 현재 월정사성보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이 그림은 선재동자의 방문을 받고 그에게 수기를 주는 관음보살의 모습을 그린 간단한 도상이다. 관음보살은 언제 어디서나 고통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고 안락과 기쁨을 가져다 주는 존재로 일반대중에게 가장 친근한 보살로 신앙되어오고 있다. 또한 관음보살은 제도하고자 하는 자에게 알맞은 모습으로 몸을 자유자재로 바꾸어 중생을 제도해 주는 신통력을 지니기도 한다. 이러한 관음보살의 성격은 《법화경(法華經)》「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에 자세히 설해져 있다. 또한 《화엄경(華嚴經)》「입법계품(入法界品)」에는 남해 바닷가에 면한 보타락산(補陀洛山) 살며 중생을 제도하며 구법여행을 하는 선재동자(善財童子)의 방문을 받고 설법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 그림은 바로 이 모습을 그린 것으로, 관음보살은 원형의 두광과 키형의 신광을 지니고 있으며 머리에는 금강저(金剛杵)와 같은 독특한 모양의 보관을 쓰고 있다. 관음보살은 왼손은 어깨까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고, 오른손은 내려 선재동자의 머리를 쓰다듬고 있다. 원형의 두광 좌우에는 역시 원 안에 각각 관음보살변상(觀音菩薩變相), 남순동자마정수(南巡童子摩頂手)라 기록하고, 글씨의 좌우에는 각각 梵字를 한자씩 써놓았다. 관음보살이 입고 있는 복장이 선재동자의 것과 유사하고, 보관만 썼을 뿐 얼굴도 동안(童顔)이어서 관음이 동자를 제도하기 위해 동자의 몸으로 변화한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즉 이 그림은 관음 33응신의 한 장면인 동남신(童男身)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법화경과 화엄경에서 설한 관음의 성격을 모두 표현한 도상이라 할 수 있다.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표지판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2021.08.01, 월정사 성보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