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590호 _ 화동고지도 (華東古地圖) (모사본)
수 량 : 1축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6세기
조선 전기의 조선과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을 그린 세계지도이다. 바다의 물결무늬[수파묘(水波描)], 중국의 연호와 지명 등을 볼 때 16세기 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의 전체적인 윤곽은 1402년에 만들어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와 유사하지만, 조선 부분은 보다 자세하고 정확하게 그려졌다. 반면, 일본은 지도가 생략된 채 조선 남쪽에 위치만 표시되었다. 이처럼 중국과 조선만 자세히 그리고 그 외의 지역은 위치만 간략히 표시한 방식은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지도에서는 조선의 팔도와 중국의 각 성(省)은 지명의 색채를 달리하여 구분했는데, 다만 함경도 지역은 박락이 심하여 군현명을 알아보기 어렵다. 산동반도 남쪽의 황해 부분에는 변동이 많았던 황하(黃河)의 유로 변천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지도로서 현전하는 것이 매우 적은 상황에서 본 지도는 16세기 동아시아의 지리적인 내용 및 당시 조선지도의 실상을 보여주는,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도로 평가된다.
화동고지도 표지판
화동고지도 (華東古地圖) (모사본)
2022.02.24, 서울대학교 규장각_고지도로 본 서울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591호_해동지도 (0) | 2022.03.02 |
---|---|
보물 제2115-1호_고려사 (0) | 2022.03.01 |
보물 제1537-2호_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0) | 2022.02.26 |
보물 제1358-2호_동여도 (0) | 2022.02.26 |
보물 제1463-3호_용비어천가 권1~2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