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591호 _ 해동지도 (海東地圖)
수 량 : 6책 128장 2축2장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8세기
조선 후기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를 수록한 지도첩이다. 군현 지도뿐만 아니라 조선전도, 도별도와 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 왜국지도와 함께 주요 관방의 지도도 포함되어 있다. 원래 8첩이었으나 지금은 6책으로 되어 있다.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책의 서북피아양계전도와 제8책의 팔도총도는 대형전도이다.
지도에 수록된 내용은 군현 호구수 등의 통계를 볼 때 1748년(영조 24)~1750년(영조 26)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어 이 지도첩이 18세기 중반에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수록된 지리 정보로 보아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도첩에서 군현은 모든 고을이 통일성을 지닌 회화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지도의 여백을 이용하여 각 군현의 호구, 전결, 곡물, 건치 연혁, 산천, 군명, 고적, 역원, 서원, 불우, 토산 등의 항목과 방위를 표시하는 방면 주기가 들어있다. 이는 이 지도가 지방 고을의 통치를 위해 제작되었고, 당시 비변사와 함께 지도 제작을 주도하였던 홍문관에서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지도는 18세기 후반 전국의 모든 고을의 지리적인 내용을 통일적인 체계에 의해 묘사하였고, 당시 지리지의 편찬과도 관련되어 있다. 비슷한 유형의 군현지도첩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으나 『해동지도』는 이들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다. 당시 지도의 발달뿐만 아니라 고을의 역사지리적인 내용을 파악하는데 매우 가치있는 자료이다.
해동지도 (海東地圖) 중 경도(京圖) 표지판
해동지도 (海東地圖) 중 경도(京圖)
해동지도 (海東地圖) 중 송도(松圖)
2022.02.24, 서울대학교 규장각_고지도로 본 서울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649호_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0) | 2022.03.10 |
---|---|
보물 제2119호_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0) | 2022.03.07 |
보물 제2115-1호_고려사 (0) | 2022.03.01 |
보물 제1590호_화동고지도 (0) | 2022.02.28 |
보물 제1537-2호_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