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도(遊鴨圖)> _ 긍원(肯園) 김양기(金良驥, 1793~1844년 이전), 조선 19세기 전반, 부산박물관 소장
헤엄치는 오리
김양기는 김홍도의 아들로 화조화 → 풍속화 → 신선도등을 잘 그렸으며, 화풍에서는 부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강가 나즈막한 언덕 위에 나무에 꽃이 무성하게 피어있고 강물에는 오리 4마리가 헤엄치고 있는 그림이다. 화면 좌측 상단에는 조선 후기 시인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 시 「평구도중(平丘道中) 」중 일부 구절이 적혀 있다. 시의 내용대로라면 이 그림은 음력3월 말 한밤중의 강가 풍경을 묘사한 그림이다.
兩岸桃花三月暮, 一江水五更生, 肯園
양쪽 언덕 복사꽃에 삼월이 저물고 온 강의 봄물은 한밤중에 생긴다. 긍원.
<유압도(遊鴨圖)> _ 긍원(肯園) 김양기(金良驥, 1793~1844년 이전)
2022.06.03.부산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영수의 <가족> (0) | 2022.08.14 |
---|---|
이건희 컬렉션, 백영수의 <모자> (0) | 2022.08.13 |
이건희컬렉션, 새천년계회첩 (世年禊會帖) (0) | 2022.08.13 |
최북(崔北)의 <괴석도(怪石島) · 석란도(石蘭島)> (0) | 2022.08.12 |
이건희컬렉션, 사천장시화첩(斜川莊詩畵帖)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