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66호 _ 충주 이시진 효자각 (忠州 李時振 孝子閣)
수 량 : 1동
지정일 : 2009.05.08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대전리1길 149 (동량면)
이시진(1578~1633)은 조선중기 때 효자로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슬퍼함이 극진하여 난리(임진왜란)를 만나서도 상복을 벗지 않았다. 또 어머니의 병환이 심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케 하였으며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를 하여 몸이 야위어 거의 죽을 번하였다고 한다. 고을에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관찰사에게 보고하고 임금에게까지 알려져 1608년(선조 41) 정려를 명하여 세워진 효자문이다.
‘完山李時振之閭 萬曆 戊申春 命旌이라 편액 되어 있다.
남향으로 배치된 정려각의 규모는 정면1칸, 측면 1칸으로 구획하여 사면에 홍살을 둘렀다. 기단은 자연석을 낮게 쌓았으며 그 위에 사각주 초석을 놓고 원형기둥을 세웠는데 공포는 만들지 않고 창방으로 결구된 주간에만 4개의 소로를 놓아 주심도리 장형을 받치고 있다. 가구는 양측 대량 상부에 제형대공을 설치하여 종도리를 받치도록 한 삼량집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단청을 하였다. 초석이나 기둥은 당시의 것으로 판단되며 기와는 보수하였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340면에 幼學 李時振에 대한 이야기가 「時振斷指」라 하여 그림과 함께 전하고 있다.
이시진(李時振 ; 1578~1633)은 본관이 全州, 諡號는 沖軒公, 자는 起夫이다.
李時振의 지극한 효행에 감동한 온 마을 사람들이 연명(連名)으로 글을 만들어 방백에게 전달하고 방백은 다시 임금님께 아뢰어서 1608년 봄(宣祖 41년 萬曆 戊申 春에 정려를 받아 효자문을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그 효행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7권 20면,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340면에 실려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1617년 유근이 편찬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속편으로 18권 18책의 목판본으로 되어있다. 이 책은 72명의 충신과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쓰여 졌다. 편찬 동기는 임진왜란 이후 도의가 문란해지자 국가에서 백성들의 도의를 회복하고자 펴낸 일종의 국민 윤리서이다.
충주 이시진 효자각 표지판
충주 이시진 효자각
충주 이시진 효자각
남향으로 배치된 정려각의 규모는 정면1칸, 측면 1칸으로 구획하여 사면에 홍살을 둘렀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충주 이시진 효자각 우측면
.
충주 이시진 효자각 좌측면
이시진 정려(李時振 旌閭)
정려각 내부 편액에는 '孝子完山李時振之閭 萬曆 戊申春 命旌'이라 쓰여 있다.
▼이시진 묘소입니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149호 _ 충주 이시진 묘소 (忠州 李時振 墓所)
이시진(1578∼1633)은 조선시대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기록된 효자로서 국가로부터 정려를 받은 인물이다.
이시진 묘소(李時振 墓所)는 조성 당시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순조 12년(1812)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이시진 묘비(묘표)와 상석, 향로석, 계체석 등이 잘 남아있어 조선후기 묘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등장하는 이시진의 효행을 실체적으로 보여주는 유적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2023.01.08.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 이시진 효자각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6호_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2) | 2023.01.14 |
---|---|
충주 최씨의 시조 최승의 위패를 모신 사당, _충주 영모사 (6) | 2023.01.11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_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6) | 2023.01.09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7호_이한직가옥 (1) | 2022.12.26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6호_박기성가옥 (2)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