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독립운동가 근촌 백관수선생 고택

기리여원 2024. 6. 15. 14:37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90호 _ 백관수선생 고택 (白寬洙先生 古宅)

 

수량/면적 : 일곽655㎡

지정(등록)일 : 1997.07.18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덕길 58 (성내면, 백관수선생고택)

 

이 건물은 근촌 백관수 선생의 고택으로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각지붕으로 규모는 16.5평이다. 주초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기둥은 각주, 기단은 근래에 깬돌로 보수하였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으로 건물 규모는 17평이다.

 

근촌 백관수 선생은 고종26년(1889) 1월28일 성내면 덕산리에서 태어나 여섯살때 부터 거유인 간재 전우의 문하에서 한문을 익히고, 열여섯 되던 해에 러일 전쟁이 일어나 망국의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었다. 1917년 봄 비록 만학의 길이기는 하였으나 일본으로 건너가 명치대학 법과에 입학한 후 그곳에서 독립운동 대책위원으로 뽑혀 역사적인"2.8선언"으로 일본경찰에 연행되어 1년동안의 옥고를 치루었으며, 이 선언은 바로 3.1운동을 촉진 시킴으로 독립운동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1920년 3월 출옥한 그는 귀국해서 기독교 청년회와 관련하는 한편, 언론계에 투신하여 이상재와 더불어 조선일보의 이사와 영업,편집 등을 맡아 4년간 근무하였다. 그가 주동한 2.8선언의 전모를 알고 있는 이승만은 독립운동을 함께 할 것을 간청하였으나 거절하고 귀국하였던 것이다.

 

1937년 5월 동아일보사 제7대 사장에 취임하였으며 1947년 대주대표자대회를 거쳐 1948년 5월 10일 제헌국회의원에 향리인 고창에서 당선되어 초대 법사위원장을 지내다 6·25로 자택에서 공산당에 납북되었다. 당시 나이 62세였으며 그의생사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백관수선생 고택 표지판

 

백관수선생 출생지 표지석

 

근촌(芹村) 백관수선생 (白寬洙, 1889~미상, 전북 고창군)

 

백관수는 3.1운동 직전 일본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을 주도했다. 언론계에서 활동하다가 해방 후 제헌의원으로 대한민국의 헌법과 정부를 조직하는 데 참여한 인물이다. 1919년 일본에서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해 단장이 되었고, 학생대표 11명의 한 사람으로 2·8독립선언을 발표한 일로 1년간 복역했다. 1925년 조선사정연구회를 만들어 민족운동 조직을 육성하려 했다. 1932년에는 홍문사를 설립하고 <동방평론>을 창간해 3년간 발행했다. 1937년 동아일보사 제7대 사장에 취임하여 1940년 일제의 동아일보를 강제 폐간 조치에 저항하다가 종로경찰서에 1개월간 구금되었다. 19485·10선거에서 제헌의원으로 당선되어 초대 법제사법위원장과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을 지냈다. 6·25전쟁 때 납북되어 북한에서 죽었다.

 

- 다음백과 -

백관수선생 고택 전경

 

백관수선생 고택 전경

 

곳간채

 

백관수선생 고택 사랑채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안채와 같이 일자집이다. 간살의 구성을 보면 동쪽에서부터 대문간과 사랑대청이 앞뒤로 배치되고 그 옆에는 2칸의 방이 있는데 앞뒤로 모두 툇마루를 시설하였다. 이어서 부엌과 방이 겹집과 같이 두 줄로 배치된다

사랑채 후면

 

백관수선생 고택 안채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각지붕으로 규모는 16.5평이다. 주초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기둥은 각주, 기단은 근래에 깬돌로 보수하였다

 안채

 

 안채 후면

 

 

▼ 백관수선생 고택으로 가는 도로 좌측에 위치한 덕산사(德山祠)입니다.

수원백씨사우인 덕산사( 德山祠) 

 

덕산사는 수원백씨사우(水原白氏祠宇)로 1949년에 사우를 건립하였으나 6.25동란으로 설향(設享)을 못하다가 1964년에 유림(儒林)들이 사우를 보수하여 백인수(白隣洙)선생을 봉안향사(奉安享祀)하고 1989년에 백관수(白寬洙) ·백정기(白貞基)선생을 추배(追配)하였다.

덕산사( 德山祠) 표지판

 

독립운동가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 갑운(甲雲) 백인수(白麟洙), 근촌(芹村) 백관수(白寬洙) 선생을 모신 덕산사( 德山祠)

 

2024.05.20, 고창군 성내면, 백관수선생 고택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