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3

충청남도 기념물 제140호_당진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40호 _ 당진향교 (唐津鄕校) 면   적 : 1,798㎡지정일 : 1997.12.23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교동2길 33-18 (읍내동, 당진향교)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당진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이나 태종 7년(1407)에 지은 것으로 전하고 있다.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 교육 공간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삼문, 제기고 등이 있다. 대성전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당진향교 표지판 당진향교..

카테고리 없음 2024.06.01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3호_취석정, 화산리 고인돌 13기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3호 _ 취석정 (醉石亭) 수    량 : 1동지정일 : 1997.07.18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노동로 191-9 (고창읍, 취석정)시   대 : 조선시대 명종1년(1546) 고창읍 노동저수지에서 호도마을쪽으로 100m쯤 가면 수백년된 노송과 거목 버드나무가 어우러진 숲에 고고한 자태를 뽑내는 정자가 바로 취석정이다. 취석이란 말은 옛날 중국의 도연명이 한가로이 세상을 살 때 술이 취하면 집앞 돌팍위에 잠들기도 했다는 도가에서 비롯 되었으며, 사람이 욕심없이 한가롭게 생활한다는 뜻으로 취석이라 일컬었다 한다.이 취석정은 광산인 노계 김경희가 명종 1년(1546)에 세운 정자로서 을사사회를 맞아 선생께서는 벼슬길에 나아지 않고 죽음 이만영, 규암 송인수 등 제현과 ..

카테고리 없음 2024.06.01

수륙재 단방(水陸齋 壇榜)

_ 조선 17세기, 종이에 먹, 영암 도갑사 명부전 영암 도갑사 명부전에서 발견된 복장유물 중 하나로 수륙재 의식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의 일부이다. 단방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수륙도량에 설치한 각 단에 붙이는 방문으로 이를 통해서 도갑사의 불교의식 거행에 대해여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이다. 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 수교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