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비지정문화재 297

금해 관영 진영

_ 근현대, 비단에 채색, 백양사성보박물관 금해 관영(錦海 瓘英, 1856~1937) 스님을 그린 진영이다. 관영 스님은 11세에 백양사에서 화담 법린(華曇法璘, 1843~1902)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백양사에서 다수의 전각 건립과 불상, 불화 조성 불사를 진행하였고 주지를 역임하였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마곡사 독성도

_ 조선 고종 9년(1872), 마곡사 성보박물관 이 독성도는 1872년(동치 11)에 조성된 것으로 춘담당(春潭堂) 봉은(奉恩)의 작품이다. 스승인 익찬의 화풍을 이어받아 다소 둥근 얼굴에 눈과 입술을 가늘게 그리고 청색을 주조색으로 계곡은 물론 독성의 수염과 옷을 같은 청색으로 표현하여 독성을 유독 강조하였다. 봉은은 밝고 화사한 화면을 구사하며 불국토의 장엄효과를 잘 표현한 수화승으로 19세기 후반 충청도 불화를 이끌던 대표적 화승이었다. 스승인 익찬(益讚) 밑에서 화업을 닦으며 봉화(奉華) · 경욱(敬郁) 등과 활동하였다. 해명당(海溟堂) 산수 (山水)와 교유하며 그의 화풍에 영향을 받았다. 봉은(奉恩)이 수화승이 된 이후에는 계장(戒莊) · 완선(完善) · 상열(尙悅) · 의민(義敏) · 봉선(..

동서리 참샘샘터

동서리 참샘샘터 소재지 :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5, 참샘샘터 과거 수돗물이 나오기 전 동서리 마을 주민 전체가 식수로 사용하였던 역사 깊은 샘물이다. 샘터에 모여 정다운 이야기 꽃을 피우던 참샘샘터는 오늘날까지 마을 사람들의 감성공간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슬로우시티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참샘샘터는 서정적 향수를 느끼게 함으로써 동서리 마을의 또 하나의 관광컨텐츠가 되고 있다. 참샘샘터 표지판 동서리 참샘샘터 동서리 참샘샘터 현판 동서리 참샘샘터 참샘샘터 앞 달팽이 모형 동서리 참샘샘터 참샘샘터 참샘샘터 참샘샘터 참샘샘터 참샘샘터 2023.08.16,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참샘샘터 안내표지판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청류암 신중도

_ 조선 1892년, 비단에 채색, 정토사 청류암(백양사 극락보전) 백양사 3대 암자인 정토사 청류암(淸流庵)에 봉안했던 불화이다. 는 1892년 경담 서관(鏡潭瑞寬, 1824~1904) 스님의 증명 하에 증언(證彦), 묘영(妙英), 봉준(奉俊) 스님 등의 참여로 조성되었다. 전체 화면을 황색과 녹색 구름을 이용하여 상하로 나누어 여러 신중을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상단에는 왼쪽부터 제석천(帝釋天),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예적금강(穢跡金剛), 범천(梵天), 예적금강, 위테천(韋馱天 ) 순으로 배치되었다. 특히 예적금강 2위가 표현되어 주목된다. 하단에는 무장을 한 호법신과 성군들이 역동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백양사 팔상도

_ 조선후기, 비단에 채색, 백양사성보박물관 팔상도는 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묘사한 그림으로 백양사 는 이 중 , , 3폭이 전해지고 있다. 에는 부처님의 탄생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호명보살(護明菩薩)이 흰코끼리를 타고 내려와 마야부인에게 입태(入胎)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호명보살을 둘러싼 연기가 하단부 궁궐 안에 있는 마야부인에게 연결되어 그림의 장면을 연결하고 있다. 에는 성문을 나선 태자가 노인 · 병자 · 죽은 자의 모습을 보고, 사문(沙門)을 만나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에서는 말을 타고 성을 넘어 출가하는 태자의 모습이 묘사되었다. 채색은 전체적으로 적색 · 녹색 · 황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였다. 화면 내에서 주요한 인물과 장면을 표현하는 데 있어 황색의 색체를 사용하여 해당 ..

백양사 신중도

_ 조선 후기, 비단에 채색, 백양사 성보박물관 이 는 크게 상 · 하단으로 나누어 그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상단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풍성한 연꽃을 든 제석천이 장식된 의자에 앉아 있다. 제석천 주위로 쌍계머리를 한 천동은 타원형의 부채가 달린 긴 장대를 들고 있으며, 그 앞으로는 보관에 빨간 해가 그려진 관을 쓴 일광보살과 하얀 달이 있는 관을 쓴 월광보살이 제적천을 향해 합장하고 있다. 하단에는 화려한 새 날깨 모양 깃이 달린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둥근 얼굴의 상호를 띤 위태천과 역동적인 모습의 팔부중이 그 주위를 에워씨고 있다. 전체적으로 많은 인물을 표현하면서도 짜임새 있는 구도가 특징적이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

정토사 기봉암 삼세불회도

_ 조선 1892년, 비단에 채색, 정토사 기봉암(백양사 성보박물관) 정토사(현 백양사) 기봉암에 봉안했던 이 불화는 기존의 삼세불회도와는 달리, 아미타부처님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부처님과 석가모니부처님을 표현하였다. 그림 중앙의 아미타부처님을 청련좌에 가부좌로 앉아 설법인을 취하고 있다. 아미타부처님 좌우에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있고, 세분의 부처님이 자리한 단 아래로는 아미타팔대보살이 시립해있다. 이 그림의 특징은 석가모니부처님의 육계로 다른 부처님과 달리 전통적으로 그려지던 이중 육계가 아닌 굴곡진 두발 위에 낮고 편평한 민머리 모양의 육계가 표현되었다. 이러한 독특한 두발 표현은 18~19세기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다른 화승들의 작품에서도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당대 전라도 지역의 불..

보원사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및 목판

_ 嘉靖 44년(조선 명종 20년, 1565년) 개판/총 51판, 서산 보원사 소장 『 보원사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普願寺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 는 중국 송(宋)의 승려 지반(志磐)이 저술한 책으로, 일반적으로 『지반문(志磐文)」으로도 불리며 수륙재( 水陸齋) 때 행하는 방법과 그에 따르는 의식절차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 본 목판은 권비제 '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一券'에 이어진 간행기록을 통해 1565년 청홍도(靑洪道), 충청도의 異稱 서산지(瑞山地) 가야산(伽耶山) 보원사(普願寺)에서 개판된것으로 현재 보원사에 51판이 소장되어 있다 _ 嘉靖 44년(조선 명종 20년, 1565년) , 서산 보원사 소장 89장 권미제 ' 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一券'에 이어진 간행기록을 통해 1565년에 청홍도(靑洪道..

만공대선사 월면 진영

_ 1930년대, 수덕사 근역성보관 만공월면(滿空 月面, 1871~1946) 대선사는 선(禪)의 중흥조인 경허대선사의 제자로 스승의 선지를 계승하여 선풍을 진작 시킨 위대한 선지식이다. 이 진영은 만공스님이 환갑 무렵의 모습으로 수제자인 보원스님의 전법제자로 오랫동안 간월암 주지를 역임한 동산스님이 생전에 소장하던 것을 수좌 적광스님께서 수덕사에 기증한 것이다. 2023.10.22, 수덕사 근역성보관 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