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향토유적 44

강화군 향토유적 제19호_함허대사부도

강화군 향토유적 제19호 _ 함허대사 부도(涵虛大師 浮屠) 지정일 : 1986.04.01 소재지 :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467 함허대사부도는 정수사를 다시 일으킨 함허대사의 승탑이다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함허대사가 정수사에서 입적하자 그의 수도처였던 뒷산 중턱에 현 부도를 봉안한 것이라 한다. 부도의 구성은 기단 위에 탑신이 놓이고 그 위에 옥개석을 얹어 정상에 상륜을 장식하고 그 기본형은 팔각원당형을 따르면서 사각의 단순한 변형을 가미 하였다. 기단부는 상 · 하대로 형성되었으며 각 면에는 아무런 조식도 없다. 1석으로 조성된 4각의 지대석위에 역시 4각의 기단을 올려 받쳤고, 원형의 탑신을 상대 중앙에 고종시켜 놓았다. 6각의 옥개와 탑신 사이에 받침을 두었으며 상륜은..

강화 향토유적 제26호_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

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江華 三巨里 川谷 支石墓) 지정일 : 1986.04.01 소재지 : 인천광역시 하점면 삼거리 524-1 1986년 4월 1일 강화군의 향토유적 신삼리 지석묘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부족장의 무덤으로 지석묘(支石墓)라고도 부르며 이 고인돌은 하점평야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탁자식 고인돌이다. 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 표지판 국도 좌측에 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이 위치해 있습니다. 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 강화 삼거리 천곡 고인돌 대형판석의 상석이 얕은 봉분 위에 놓여 있고, 2매의 지석은 봉분에 걸친 채 모두 쓰러진 상태이다. 상석은 타원형의 판석을 사용하였으며 길이 3.9m, 넓이 2.6m, 두께 0.4m..

강화군 향토유적 제9호_덕진진 경고비

강화군 향토유적 제9호 _ 덕진진 경고비(德津鎭 警告碑) 소재지 :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46 덕진진 남쪽 끝 덕진돈대 앞에 있으며 고종 4년(1867)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강화 덕친첨사가 건립되었고 규모는 147cm, 폭 54.5cm, 두께 28cm이다. 비에는 "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海門防守他國船愼勿課)"라고 음각되어 있는데, 이는 '바다의 관문을 지키고 있으므로, 외국 선박은 통과할 수 없다"는 뜻으로 쇄국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경고비 우측에는 탄흔의 흔적이 남아 있다 덕진진 경고비 덕진진 경고비 좌측면 덕진진 경고비 후면 덕진진 경고비 우측면 덕진돈대에서 본 덕진진 경고비 2022.02.02.강화 덕진진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화군 향토유적 제7호_철종외가 묘

강화군 향토유적 제7호_철종외가 묘(哲宗外家 墓)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냉정리 산70-46 철종외가 묘는 철종외가에서 좌측으로 약 500m 정도 떨어진 길 바로 옆에 있다 철종 10년(1859)에 강화유수 조충식이 왕실의 위엄을 갖춘다는 뜻에서 철종의 외숙 3인의 묘를 정비하고 비석을 세웠다. 이에 철종은 5대에게 벼슬을 추증(追贈)하고 선원면 냉정리의 전답 10여 정보를 하사하는 특전을 베풀었다고 한다. 좌측으로부터 염상임(廉尙任) 묘, 중앙에는 염덕석(廉德碩) 묘, 우측에는 염성화(廉星華)부부 합장묘이다. 철종외가 묘 표지판 철종외가 묘 전경 좌측부터 염상임(廉尙任) 묘, 염덕석(廉德碩) 묘, 염성화(廉星華)부부 합장묘 철종외가 묘 전경 염성화(廉星華)부부 합장묘 염성화(廉星華)부부 합..

강화군 향토유적 제3호_황형택지

강화군 향토유적 제3호_황형택지(黃衡宅址)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242 조선 중기 무신이었던 황형(黃衡, 1459~1520)의 옛 집터이다. 선생의 자는 언평, 시호는 장무이며 본관은 창원으로 성종 11년(1480) 무과 및 진현시에 급제하고 1486년 무과 중시에 장원급제하였다. 이후 혜산진 첨절제사, 훈련도정, 의주 목사, 회령 부사, 함경도, 경상도 병마 절도사를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중종 5년(1510) 삼포왜란 시 전라좌도 방어사로 제포에서 왜적을 크게 무찌렀다. 중종 7년(1512) 함경도 지방에서 야인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고 평안도, 함경북도 병마절도사를 거쳐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무이며 왕이 그의 공을 찬양하며 연미정을 하사하여 이곳 월곳..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37호_망미정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37호 _ 망미정(望美亭) 수 량 : 1동 지정일 : 2008.01.09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111-1 망미정은 병자호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적송(赤松) 정지준(丁之寯, 1592~1663)이 1646년(인조 24)에 세운 정자이다. 건립당시에는 절벽 대안(對岸)에 있었으나 동북댐 확장공사로 말미암아 1985년 현 위치로 이축하게 되었다. 현판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熙, 1786~1856)의 아우 금미(琴麋) 김상희(金相喜 : 1794~1861)의 글씨가 걸려 있었으나, 수몰과정에서 분실되었고, 현재는 정면에 소암(素菴) 현중화(玄中和, 1907~1997)의 글씨와 측면에 김대중(金大中) 전대통령의 글씨가 걸려 있다. 정지준(丁之寯)은 창원 정씨로 청정재(淸..

이천시 향토유적 제8호_소고리 마애삼존석불

이천시 향토유적 제8호 _ 소고리 마애삼존석불(所古里 磨崖三尊石佛) 소재지 :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 91-9 이 삼존불(三尊彿)은 남서쪽을 향한 주형광배(舟形光背)에 가까운 편편한 자연석 면에 돌을 새김으로 조각되었으며,모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좌상(坐像)의 형태이다. 이 석불은 신라시대의 토우(土偶)나 미개종족(未開種族)의 신상(神像)에서 볼 수 있는 희화적(戱畵的이고 과장된 표현이 특징을 이루고 있다. 바위면 상단에는 원호(圓弧)의 비수구(批水口)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는 본존(本尊)에만 연화좌(蓮華座)가 있으나 지금은 매몰되어 있는 상태이다. 중앙의 본존(本尊)은 머리 위에 굵은선으로 두광(頭光)을 나타냈고, 머리에는 관모형(冠帽形)의 소발(素髮)이 있으나 보관(寶冠)을 표시한 것 같기도 하다...

고려 개국공신 유금필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 부여군 향토유적 제8호_유태사 묘

부여군 향토유적 제8호 _ 유태사 묘(庾太師廟) 지정일 : 1992.05.06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림성내 이 곳은 고려 개국공신 유금필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유금필장군은 황해도 평주사람으로 923년에 마군장군이 되어 골암진에 침입한 북번을 평정하였으며, 그 뒤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후백제 섬멸 뒤 남방을 다스릴 때 고려 태조를 만나러 가다가 임천에 머무르게 되었는데, 이 곳 패잔병들의 노략질이 심하고 나쁜 병과 흉년까지 겹쳐 민심이 흉흉하게 되었다. 이 때 군량을 나누어 주고 둔전을 운영하여 민심을 수습하고 선정을 베푸니 임천 백성들이 감사하며 산 사당을 세워 장군의 공덕을 기리고 해마다 제사를 올려왔다. 941년 장군이 죽자 고려 태조가 '충절'이라는 시호를 내..

담양 향토유적 제2-4호_한재초교 석불상

담양 향토유적 제2-4호_한재초교 석불상 소재지 : 전남 대전면 대치리 787-1번지, 한재 초교 영천이씨인 이언좌의 꿈에 집을 지으면 무너지는 일이 반복되자 집터를 파보니 석불(石佛)이 나타났다고 하며,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교정내로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이 석불은 허리 아래가 묻혀 있었으나 매몰된 형태로 보아 조상(坐像)일 것으로 추정되며 사찰의 대웅전(大雄殿)에 모신 정통적인 불상이기 보다는 동네 주변에 모신 미륵불(彌勒佛)이며, 만든 시기는 고려 초반으로 추정한다. 전체적인 불상의 크기는 2.5m이다 한재초교 석불상 한재초교 석불상 한재초교 석불상 한재초교 석불상 2021.10.31.일요일, 담양군 대치리 한재 초교 교정내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양평 향토유적 제10호_이제신 선생 신도비

양평 향토유적 제10호_이제신 선생 신도비(李濟臣 先生 神道碑)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수암리 산41-21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함경북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제신(李濟臣) 선생의 신도비이다. 신도비는 북쪽을 정면으로 하고 있는데, 비의 형태는 이수와 장방형의 비좌를 갖추고 있으며, 비신은 대리석이다. 이수는 서로 마주보는 용문과 괴운문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비는 광해군 13년(1621) 건립되었으며 마모가 심하다. 현재 정면 1칸 측면 1칸의 비각이 건립되어 있다. 비문은 신흡(申欽)이 글을 지었다. 이제신 선생 신도비 표지판 이제신 선생 신도비입구 이제신 선생 신도비명 병서 역문 (李濟臣 先生 神道碑名 拜書 譯文) 이제신 선생 신도비로 오르는 돌계단 이제신 선생 신도비각 이제신 선생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