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상남도 100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4호_양산 통도사 석가여래 영골 사리 부도비(탁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4호_양산 통도사 석가여래 영골 사리 부도비 (梁山 通度寺 釋迦如來 靈骨 舍利 浮屠碑) 탁본 지정일 : 2014.01.02 소재지 : 통도사 1706년에 성능대사(性能大師)가 금강계단을 중수하고 만든 비이다. 비의 전면에는 불사리의 행적이 자세히 밝혀져 있다.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사리를 모셔온 일과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사리를 왜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크고 작은 2개의 함에 봉안하여 금강산에 계신 스승인 서산대사에게 보낸던 사실, 그 후 한 개의 함은 본래 위치인 통도사 금강계단에 다시 봉안토록 하였고, 또 다른 한 개의 함은 태백산 갈반사에 봉안되었다는 사실이 기록되었다. 채팽윤이 글을 짓고 이진휴가 글을 썻으며전액은 권규가 썼다. 뒷면은 성능(性能)이 글을 짓고, 보윤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_통도사삼화상진영(通度寺三和尙眞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_ 통도사삼화상진영 (通度寺三和尙眞影), 지공 지정일 : 1990.12.20 소재지 : 통도사 통도사에 보존되어 있는 3폭의 초상화로, 각각 지공(?∼1363)과 나옹(1320∼1376), 무학대사(1327∼1405)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이들은 고려 후기의 개혁파로 잘 알려진 승려들로서, 지공은 나옹에게, 나옹은 무학에게 불법을 전하였다. 조선시대의 불교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신앙의 한 대상이 되어 여러 곳에 그들의 초상화를 모셨던 것으로 보인다. 3폭의 초상화는 지공의 상을 중앙에 안치하고 그 오른쪽에 나옹을, 왼쪽에 무학을 안치하였는데 세 분 모두 의자에 앉아있는 전신좌상이다. 지공은 머리에 금색 관을 쓰고 오른손에는 아홉 알의 굵은 염주를 쥐고 있으며 약간 오른쪽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_자장율사진영 (慈藏律師眞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_ 자장율사진영 (慈藏律師眞影) 지정일 : 1990.12.20 소재지 : 통도사 신라의 승려인 자장율사(590∼658)의 초상화로,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렸으며, 크기는 가로 96㎝, 세로 146㎝이다. 얼굴과 몸이 약간 오른쪽을 향한 채, 의자 위에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있는 전신좌상으로, 긴 술이 달린 불자를 왼손에 들고 오른손으로 긴 술의 끝 부분을 받쳐들고 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사각형에 가깝고, 의자 앞 받침대에 벗어놓은 신발의 색깔과 문양이 화려하다. 배경을 어두운 녹색으로 처리하였는데, 붉은색의 의자가 잘 조화된 색의 대비를 보이고 있고, 녹색의 장삼과 붉은색의 가사가 또한 뛰어난 색의 대비를 보인다. 녹색과 붉은색을 기본색상으로 하여 화려한 듯 단조로운 구도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_청동여래입상(靑銅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_ 청동여래입상 (靑銅如來立像) 지정일 : 1979.05.02 소재지 : 통도사 전체 높이 15.5㎝의 작은 크기로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든 호신불(護身佛)이다. 아래로 향한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불상으로 아랫부분에는 금색이 많이 남아 있다. 정수리 부근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매우 크게 표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얼굴은 갸름하고 여성스러울 정도로 인자하게 느껴지며, 입가에는 엷은 미소를 띠고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치고 있으며, 가슴 아래에는 늘어진 U자형의 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옷자락은 양 팔에 걸쳐 길게 늘어뜨리고 있으며, 양 다리에는 타원형의 옷주름을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가슴부분까지 들어 손바닥을 보이며 손끝이 위를 향해 있고,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0호_통도사경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0호 _ 통도사 경판 (通度寺 經板) 수 량 : 746매 지정일 : 1979.05.02 소재지 : 양산 통도사 통도사 장경각내에 있는 것으로 명종본판 17종 746매의 목판이다.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새겨졌는데, 당시 널리 유통된 대승경전, 승려 교육용 교재, 신앙에 관한 문헌, 참고용 사전류가 수록되어 있다. 경판들을 살펴보면 사찰의 교육기관인 강원의 교재가 많아 당시 통도사에서 교육에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통도사는 자장율사의 정신을 계승하고 부처님의 사리를 금강계단에 모신 곳이다. 일반적으로 계율을 지키는 계통의 사찰로 알려져 온 곳인데, 계율에 관한 경판이 거의 없고 일반 사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특이하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0호 _ 통도사 경판 (通度寺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_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2016.05.08.일요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_ 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 (雲岩影堂孤雲先生影幀) 지정일 : 1979.12.29 소재지 : 경상남도 하동군 궁단로 219-7 (양보면, 운암영당) 통일신라 후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였던 고운 최치원(857∼?) 선생의 초상화로, 운암영당에 보존되어 있다. 최치원은 통일신라 6두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