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전라남도 9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1호_나주 죽림사 극락전 영상회상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1호 _ 나주 죽림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羅州 竹林寺 極樂殿 靈山會相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09.03.20 소재지 :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산 1번지 죽림사 시 대 : 18세기 초반 나주 죽림사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부처가 주재하는 영축산 설법장면을 그린 것이다. 세로로 긴 화면 중앙에 대좌에 앉은 부처의 모습을 크게 그리고 그 주위에 문수· 보현· 미륵· 제화갈라보살과 10대 제자· 범천· 제석천· 사천왕· 용왕과 용녀, 건달바와 긴나라 등이 둘러싸고 있는 구도이다. 죽림사 영산회상도는 18세기 중엽의 작품이다. 광배 등 초록색을 사용한 부분이 약간 훼손된 상태이기는 하나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은 18세기 전라도 지방의 불화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좋은 작품이다. 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8홈_나주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_ 나주죽림사건칠아미타여래좌상 (羅州 竹林寺 乾漆 阿彌陀佛坐像) 수 량 : 총 높이 114㎝, 무릎폭 83.8㎝ 지정일 : 2008.12.26 소재지 :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산1번지 죽림사 나주 죽림사건칠아미타여래좌상(羅州 竹林寺 乾漆 阿彌陀如來坐像)은 고려시대 후기의 불상 양식의 전통을 이어주는 조선 초기 불상으로서 우리나라 조선시대 전기불상의 양식을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예가 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15개 내외뿐인 희귀한 건칠불에 속하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있다 나주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나주 죽림사( 竹林寺) 극락보전에 모셔진이다. 중간계주와 백호(白毫)는 수정을 감입(嵌入)하였는데, 심향사(尋香寺) , 불회사(佛會寺) 과 달리 눈동자에는 수정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4호_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4호 _ 나주만봉리석조여래입상 (羅州萬峰里石造如來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76.09.30 소재지 : 전남 나주시 봉황면 황치길 8-3 (만봉리) 하나의 화강암을 끝이 뾰족하게 다듬어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를 만들고, 그 위에 여래입상을 돋을새김한 것이다. 둥근 얼굴에 살짝 감은 눈, 잔잔한 미소를 띤 입, 길게 늘어진 귀에서 원만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서 입고 있는데, U자형의 옷주름이 무릎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까지 들어 손바닥이 밖을 향하고 손가락이 위로 향하고 있으며, 왼손은 손가락이 아래로 향하고 있다. 둥근 어깨와 양감있는 가슴, 잘록한 허리의 굴곡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사실적인 모습이 나타난다.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6호_나주 불회사 원진국사부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_ 나주불회사원진국사부도 (羅州佛會寺圓眞國師浮屠) 수 량 : 1기 지정일 : 2000.06.20 소재지 : 전남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 산21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나주 불회사에 있는 원진국사의 묘탑이다. 원진국사(1171∼1221)는 13세에 승려가 되어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도를 하기도 하였고, 왕의 부름으로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다. 51세로 숨을 거두자 고종은 그를 국사(國師)로 예우하고, ‘원진’이라는 시호를 내리었다. 부도의 맨윗부분이 일부 없어졌으나 맨아래의 기단부와 그 위 몸돌이나 지붕돌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앞면에는 부도의 주인공과 세운 시기를 알 수 있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고려 충숙왕 4년(1317)에 세워진 이 부도는 조성 연대를 확실히 알 수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_쌍계사 대웅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_ 쌍계사 대웅전 (雙溪寺 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5.02.25 소재지 : 전남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사천리) 시 대 : 조선 1697년 쌍계사는 점찰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로 문성왕 19년(857)에 도선국사가 지었으며, 인조 26년(1648)에 의웅이 다시 지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쌍계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이다. 지어진 연대는 1982년 수리할 때 발견된 기록에 숙종 23년이라 쓰여져 있어 정확히 1697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가장 단순한 맞배지붕이다. 문의 가운데 칸은 4짝으로 빗살문이며, 양쪽 끝칸은 3짝으로 띠살문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9호_용흥사부도군(2016.08.21)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_ 용흥사부도군 (龍興寺浮屠群) 수 량 : 7기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산86-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중기이후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용흥사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자리잡은 이 부도밭에는 7기의 부도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모두 비슷한 형식을 하고 있어서, 바닥돌 위로 3단을 이루는 기단(基壇)을 두고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바닥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앞에서 보아 맨 왼쪽에서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청심당 쌍인탑 - 탑신의 몸돌에 승려의 이름이 새겨 놓았으며, 용흥사범종(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90호)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_불갑사사천왕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_ 불갑사사천왕상 (佛甲寺四天王像) 수 량 : 4구 지정일 : 1987.09.18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로 450, 불갑사 (모악리) 시 대 : 17세기 중엽 추정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불갑사에 있는 사천왕상이다. 이 사천왕상은 진흥왕 1년(540)부터 35년(574)까지 연기조사 만든 것으로, 조선 고종 7년(1870)에 설두대사가 나무배 4척을 동원하여 현재의 곳으로 옮겨왔다고 전한다. 사천왕문 좌우편에 각각 2구씩 4구가 배치되어 있는 사천왕상은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동쪽은 지국천왕, 남쪽은 증장천왕, 서쪽는 광목천왕, 북쪽은 다문천왕이라 부른다. 지국천왕은 손에 4줄로 된 비파를 들고 있고, 증장천왕은 큰 칼을 가지고 있다. 광목천왕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30호_영광설매리석조불두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30호 _ 영광 설매리 석조 불두상 (靈光雪梅里石造佛頭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01.06.05 소재지 : 전남 영광군 군남면 설매리 산59-3번지 시 대 : 통일신라말∼고려전기 영광 설매리 서고마을의 서북쪽 미륵골에 있는 것으로 바위 위에 불상 머리만 조각하여 올려 놓은 특이한 형태이다. 네모나고 다소 넓은 얼굴의 이 불상은 명상에 잠긴 듯한 눈을 하고 있어 근엄하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민머리의 머리 위에 넓고 큰 육계가 있는 부처의 얼굴은 눈두덩이가 유난히 크며, 이마는 다소 좁은 듯하다. 알맞게 곧은 코에 단정하게 입을 다물고 있으며 특히 귀가 매우 길어 목의 중간까지 내려왔다. 불두(佛頭)의 뒷면은 평면적으로 처리하였으나 앞면의 조각 솜씨는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0호_ 여수 흥국사 제석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0호 _ 여수 흥국사 제석도 (麗水 興國寺 帝釋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09.03.20 소재지 :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60 (중흥동) 시 대 : 1741년 흥국사는 18세기 전반에 사세가 융성하고 대대적인 중수 불사를 하면서 당시 대표적인 화승 의겸을 모시고 긍척 등 많은 화승들이 불화불사를 진행하는데 흥국사 제석도도 이 시기에 그려지면서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18세기 전남지방의 우수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중도는 조선전기의 작품으로 1583년에 제작된 일본 禪覺寺 소장 제석도와 일본 西大寺 소장 제석도, 일본 靈寶館 소장 십이신중도 열두폭이 있다.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는 1622년 순천 향림사의 신중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9호_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2017.09.17)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9호 _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麗水 興國寺 三藏菩薩圖) 수 량 : 2폭 지정일 : 2009.03.20 소재지 :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60 (중흥동) 시 대 : 조선시대(1741년)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는 1741년의 작품으로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의 작품(1550년 日本 愛知縣 新長谷寺 ..